코로나가 부른 우울의 시대

0
1757
삽화=김하연 기자
삽화=김하연 기자
삽화=김하연 기자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로 답답함과 우울함, 이른바 코로나 블루를 겪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무기한 연장되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이 감소하면서 불안과 스트레스를 겪는 것이다.

특히 코로나 블루는 2030세대의 정상적인 삶을 위협하는 수준에 이르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우울증 예방을 위해서는 방역수칙을 준수하는 선에서 사회활동을 이어가야 한다는 게 전문가의 제언이다.

젊은 세대가 더 취약
코로나 블루는 젊은 층에서 많이 발생한다. 보건복지부가 올해 1분기에 발표한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에서 20대와 30대 우울 위험군 비율은 각각 30.0%, 30.5%로 60대(14.4%)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 블루는 전 연령층에서 나타나는 증상이지만 노년층에 비해 청년층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특히 코로나 시대 대학생 대부분은 학교에 거의 오지 못하고 1년을 보냈다. 학교생활에 적응하기 어렵고 새로운 친구를 사귀기 쉽지 않아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우울과 우울증의 차이
우울이란 감정과 우울증은 다르다. 우울은 일상에서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감정인 데 반해 우울증은 보통 2주 이상 지속되며 우울증 환자는 일상생활에 매우 큰 어려움을 겪는다. 코로나 블루가 확산된 상황에서 단순 우울과 우울증을 혼동하는 경우도 늘어났다. 사소한 감정도 우울증이라고 느낄 수 있다.

상담센터 김혜진 상담사는 “우울감은 내가 왜 우울한지 그 이유와 원인을 스스로 찾을 수 있고 금방 변할 수 있는 일시적인 감정이다. 이와 달리 우울증은 우울을 느끼는 특별한 이유가 없을 수 있다”면서 전문가의 판단이 필요하다고 힘줘 말했다.

전문가와 터놓고 얘기해야
우울증을 진단받은 경우, 상담과 같은 심리치료와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약물치료를 병행할 때의 예후가 더 좋다. 상담을 통해 자신이 겪고 있는 감정과 증상을 이야기하고 충분한 공감과 이해를 받는 경험 자체가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김 상담사는 “상담 치료를 통해 내담자가 일상에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부정적으로 왜곡된 사고가 합리적이고 대안적인 사고로 변화한다”며 상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코로나로 인해 상담센터운영에 차질이 빚어졌다. 대면상담을 하러 찾아오는 상담자 수가 많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또래상담자 이동엽(환경, 박사과정) 씨는 “온라인 상담 카카오톡 채팅방을 개설하는 등 코로나에 맞게 또래상담 운영 방식을 유연하게 바꿨다”고 말했다.

규칙적 생활과 운동의 중요성
코로나 블루 극복을 위해서는 거리두기를 준수하는 내에서 인간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직접 만나기 어렵다면 가족이나 가까운 지인들에게 전화 등을 통해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규칙적인 생활습관과 가벼운 신체활동도 우울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 김 상담사는 “답답한 일상에서 작은 즐거움을 찾는 시도와 활동이 또 다른 실천을 가능하게 만들고 건강한 일상을 살아가는 데 도움을 준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이런 증상이 자연스럽고 정상적인 현상임을 지각하고 받아들이는 태도가 필요하다. 현재 코로나 상황에서 경험하는 우울과 불안은 누구나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