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지스트는 어땠을까? ③ 임시대표자회의와 짧은 임기의 4대 집행부

0
2152

<지스트 돌아보기 – 자치기구를 중심으로>

① 총학생회의 탄생

② 하우스제도의 도입과 부결

③ 임시대표자회의와 짧은 임기의 4대 집행부

④ 하우스제도의 완전부활

[기사 입력 : 2015. 09. 20. 23:04]              

  매주 일요일 연재

  입학한 지 한 학기를 이제 막 보낸 새내기들은 2010년 우리 대학이 처음 시작하던 때를 떠올릴 수 있을까요? 봄이면 꽃이 피고, 편안한 기숙사와 세 동의 대학건물이 있는 이곳이 불과 5년 전만 해도 허허벌판이었다고 말하면 아마 믿기 힘들 겁니다. 이렇게 외형적인 모습을 떠올리기 힘든 것처럼 우리 대학에 먼저 왔던 선배님들이 어떤 활동들을 했는지도 쉽게 느끼기 힘들겠죠.

<학교 뒤쪽이 왠지 허전하다.>

  하지만 이 짧은 시간 동안 지스트대학에 있었던 일 들은 적지 않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5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있었던 지스트대학 총학생회의 짧지 않은 역사에 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해내야 했던 선배들의 고민을 엿보면서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학생자치제도의 방향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된다면 좋겠습니다.

  지난 번 기사에서 다루었던 ‘전학대회의 증발’ 기억하시나요? 2012년 12월 총학생회장 선출이 무산되면서, 13학번들은 학생회장이 없는 상태로 학교에 입학하게 되었는데요. 2013년에는 어떻게 학생자치활동이 이뤄졌을까요? 이번 편에서 소개됩니다.

  

 2013년 임시대표자회의

  총학생회장이 부재한 상황에서 어떻게 학생자치활동을 이어갈 수 있었을까요? 그 해답은 ‘임시대표자회의’의 설립이었습니다. 3대 총학생회장 조민상 학우(10·물리)의 고민의 결과였습니다. 조민상 총학생회장은 층별로 이뤄진 12번의 회의에서 학생들에게 임시대표자회의를 소개하고 층장들을 선출하였습니다. 이렇게 선출된 층장들이 임시대표자회의에 참석함으로써, 운영위원회와 총학생회의 업무를 대신하였습니다.

  처음 목표는 층별로 2명씩 총 24명의 층장을 선출하는 것이었지만, 임시대표자회의까지 선출된 층장은 13명이었습니다. 추가 모집을 통해 층장은 16명까지 늘어났습니다. 비록 적은 인원이었지만 이들은 기존의 학생회장단, 하우스의 업무를 분담하여 정식총학생회기구의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2013년 당시 운영된 자치기구들로는 동아리연합회, 문화행사위원회(상설기구), InfoTeam(특별기구), 과학기술특성화대학연석회의TF(특별기구), 졸업준비위원회(특별기구), 하우스집행부가 있었습니다. 그리하여 도서 공동구매, 택배상자판매사업 등 총학생회의 복지사업부터, 운영위원회 역할까지 이전부터 이어지던 여러 사업이 계속 진행될 수 있었습니다.

<2013년 1학기의 임시대표자회의 구성도>

  하지만 임시대표자회의로 당시 학생자치제도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에는 무리가 있었습니다. 인원 자체가 이전의 총학생회보다 훨씬 적었고, 구성원들도 대부분 학생자치활동에 처음 시작하는 상황이었습니다.

  특히 학생회장단의 업무를 대신하는 하우스집행부는 하우스제도가 부결되었음에도 여전히 하우스라는 이름을 달고 있었습니다. 학생회칙 개정위원회가 발족하지 못해, 부결된 하우스제도에 관련된 내용이 학칙과 총학생회칙에 그대로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층장제도 자체가 하우스단위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이전 학생회장단 업무를 이어받은 집행부가 하우스집행부라는 이름을 갖게 된 것이죠.

  광주과학기술원 학칙에 지스트대학 기숙사에 하우스제도를 운영한다는 지침이 그대로 존재했기 때문에 학교 측에서도 하우스집행부에 하우스 예산을 지원하였고, 하우스제도는 최종도입안 부결에도 불구하고 계속 명맥을 이어나가게 되었습니다.

  이에 임시대표자회의의 대표성을 부정하고 업무의 미성숙함을 지적하는 익명의 대자보가 기숙사 정문에 붙기도 하였습니다. 대자보는 임시대표자회의의 자진해산과 차기 총학생회선출을 위한 학생들의 노력을 요구했습니다. 임시대표자회의와 3대 총학생회장은 또 다른 대자보를 통해 임시대표자회의 구성의 배경에 대해 다시 설명하고 앞으로 노력을 약속했습니다.

<대학기숙사 정문에 나붙은 익명의 대자보>

  2013년 1학기의 이러한 경험은 전체 학생들에게 학생자치활동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공감할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학생들은 대표자가 없는 것에 대한 위기감을 느꼈을 뿐만 아니라, 당연하게 생각했던 여러 행사와 복지사업들을 위해 고생하는 학우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2013년 4대 총학생회장단의 선출과 활동

  그러던 2013년 9월 16일, 4대 총학생회장단 선거가 치러졌습니다. 반년 만에 총학생회장단의 공백을 메꾸어 줄 후보자가 나타난 것입니다. 바로 한 학기 동안 임시대표자회 층장으로 활동한 경험이 있는 박원우(11·화학), 한수영(12·화학) 화학 선본입니다.

  이에 5대 선거관리위원회가 구성되었고 이 선거에서 약 92%의 득표율로 박원우, 한수영 선본이 4대 총학생회장단으로 당선이 됩니다. 이렇게 높은 득표율을 기록할 수 있었던 것은 학생회장 없이 보낸 한 학기의 경험이 학생들에게 크게 작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들은 학내 구성원 간에 소통의 증진을 목표로 내세웠습니다. 중단되었던 너 무슨 생각 하니? 게시판 사업을 다시 시작했고 학생회보도 재발간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사업들은 학생들에게 어느 정도 호응을 불러일으키는 데 성공했고 총학생회 활동에 대해 기대를 하게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이전 학생회가 가지고 있었던 고민, 즉 ‘우리에게 맞는 학생회의 체계를 갖추고 자치활동의 가치를 찾는 일’은 이어지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이는 학생회가 반년 끊기면서 인수인계를 해줄 만한 사람들이 없었고, 총학생회 임원 대부분이 학생회 활동을 처음 시작해보는 사람들이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새로 시작했던 몇몇 사업들도 후반기로 가면서 업데이트가 늦어지고 흐지부지되고만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하우스대의원의 부활

  4대 총학생회장단이 했던 일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하우스대의원(이 당시 명칭은 ‘생활자치위원’)의 부활이었습니다. 앞에서 이야기했듯, 하우스제도 최종도입안이 부결되었음에도 학생회칙개정단이 발족하지 않아 하우스 집행기구의 모습으로 하우스제도는 유지되고 있었습니다.

  학생회칙의 개정을 위해선 전학대회나 전체 학생 총투표가 필요합니다. 학생회칙 개정방안을 논의할 TF팀의 구성과 결정 이후에나 전체 학생 총투표가 가능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습니다. 학생회장단의 임기가 6개월도 되지 않는 상황. 전체 학생 총투표를 통한 학생회칙개정은 학생회장단에게 부담이었습니다.

  이에 4대 총학생회장단은 하우스제도를 그대로 끌고 가는 것으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현재의 총학생회칙을 근거로 하우스대의원을 선출해 전학대회를 꾸리고 여러 가지 사업을 진행하겠다는 것이 4대 총학생회장단의 생각이었습니다.

  스무 명 남짓의 연서를 통해 선출된 하우스 위원은 하우스장을 포함하여 총 4명이었습니다. 2012년의 하우스대의원 수가 24명이었음을 고려하면, 굉장히 줄어든 규모입니다. 전학대회 인원도 총 9명으로 2011년의 27명, 2012년의 30명에 비해 크게 작아졌습니다. 전체 학생을 대표하여 의사결정을 한다기에는 대의원의 수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었습니다.

  이에 하우스제도를 포함해 학생자치제도 전반에 대한 논의와 수정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 2012년 하우스제도의 도입과 부결을 시행착오라고 했을 때,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수정과 변화가 필요했지만 그렇지 못했다는 거죠.

 참고 :  지스토리 질문/건의 게시판 : 박원우 회장님께 하우스제도 전면적 검토와 수정을 요구합니다.

  박원우 총학생회장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민했고, 자신이 생각하는 총학생회구조에 대해 학생들에게 알리면서 학생들과의 논의와 합의를 통해 다음 해 봄 학기에 전체 학생 총투표를 통해 학생회칙을 전면 개정하는 것을 제안했습니다.

   참고 : 지스토리 자유게시판 : 학생자치제도에 관한 총학생회장의 의견

  그러나 6개월이라는 짧은 임기와 제대로 된 대의성을 갖지 못한 전학대회 위에서 학생자치제도의 전면적인 수정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한계가 있었습니다.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됐던 시점에 방학이 시작되었던 것도 제대로 된 논의를 해보지 못한 원인이었습니다. 결국, 회장단 내부에서만 논의가 진행되었을 뿐 학생사회 전반으로 논의가 진행되지 못했고 4대 총학생회장의 수많은 검토서류는 서류함으로, 학생자치제도의 수정이라는 과제는 다음 회장단으로 넘어가게 되고 맙니다.

  매주 일요일 연재

최철민 기자 ferror@gist.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