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Blog

‘손절하고 싶은 친구가 있어요’

0

또래상담자의 「토닥토닥」

 

● 여름님의 사례

같은 모임에서 처음 A를 만났어요. 처음에는 A는 신기할 정도로 나와 잘 맞는 친구였어요. 그렇게 서로의 삶에 깊숙이 들어오게 되었지요. 그러나 지내다보니 알게 된 A의 질투심과 변덕스러움은 제가 감당하기 힘들 정도였고, 이 관계를 어떻게 해야 할지 도저히 모르겠어요. 이미 저와 A는 너무 많은 부분에서 엮여 있어요. 같은 동아리, 같은 수업, 같은 지인들까지… 흔히들 말하는 ‘손절’이라는 행위가 저와 A 사이뿐만 아니라 다른 모두를 불편하게 하는 건 아닐까 많이 걱정이 돼요.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

관계를 정리하기 어려울 만큼 가까워졌을 때 친구의 다른 모습들을 알게 되었고, 이 상황 자체가 많이 고통스러웠겠군요. 장기적으로 여름님을 위해서 이 관계를 끊어내야 할지, 여름님이 조금 더 넓은 마음으로 친구를 품어줘야 할지, 그런 것들 역시 참 어렵겠어요.

제 생각에는 여름님이 상대방을 많이 아끼고 마음이 따뜻한 사람이라 더 고민을 하는 것 같아요. 그 누구도 상처받지 않는 방법을 찾고자 하는 마음 십분 이해가 돼요. 하지만 그 과정에서 여름님이 자신을 너무 갉아먹지는 않았으면 좋겠어요. 제 짧은 경험에 비추어보자면, 사람은 살면서 정말 다양한 사람을 만나게 되고, 그 사람마다 적절한 거리감을 가져가야 좋은 관계를 오래 유지할 수 있는 것 같아요. 누군가와 평생 문제없이 삶을 살아가는 건 큰 행운이겠지만, 그건 사실 불가능한 일이라는 것, 여름님도 잘 알 거예요. 누구나 서투를 때가 있고 연습이 필요한 법이잖아요. 그 과정에서 여름님도 A님 단단해지고 성장할 수 있는 거고요. 충분히 많이 고민하고, 선택을 내렸으면 해요. 여름님이 어떤 결정을 하든, 누군가는 여름님을 지지하고 이해해주고 있다는 거 잊지 말고, 지금 당장 힘든 이 순간이 서로에게 큰 자양분이 되는 날이 올 거라고 저는 생각해요.

 

상담자 : 감자
(김민상(화학, 박사과정), 또래상담자 4기)

GIST International Student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at GIST Research Labs

0

These students navigate a distinct academic environment that offers both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as they work toward their goals of gaining real-world experience and contributing to cutting-edge research. As one of the top scientific and engineering schools in South Korea, the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GIST) draws a varied range of international students looking to further their academic careers. GIST is renowned for its high impact research and innovation.

 

“The research being conducted is truly at the forefront of science,” claims Amara (pseudonym), an Indian PhD candidate with a focus on bioengineering, “and the labs here house the latest equipment. This environment provides me with a great opportunity to push the boundaries of my field.” Similar feelings are shared by a larg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at GIST, who value the opportunity to connect with peers from around the globe and work closely with world-renowned scientists. “We have such a diverse lab,” remarks Dola, a Nigerian master’s student specializing in nanotechnology. “Working with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ents is an interesting experience as they bring diverse viewpoints to the table. The professor ensures a smooth operation and exhibits fairness when handling difficult conflicts in the lab.”

Even with all the benefits, foreign students at GIST frequently encounter major obstacles when adjusting to life in a South Korean laboratory. Language difficulties are a prevalent problem, especially when complicated science discussions take place in Korean. Carlos Gómez, a PhD candidate from Spain, says, “Korean is often spoken in casual lab conversations, while English is used in formal settings. I frequently feel left out, which can make it challenging to fully engage with my peers or understand certain nuances in discussions.”

 

The experiences of international students at GIST are influenced by cultural differences as well. For individuals who are new with South Korean academics, the hierarchical structure might be intimidating due to the high regard for seniority. Taiwanese chemistry student Li Wei comments, “It was difficult to get used to the seniority-based system here because lab dynamics are more egalitarian in my country. I had to figure out how to work within this hierarchy and still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my research.“

 

Work-life balance is another concern for some international students. The rigorous demands of research at GIST can sometimes lead to long hours in the lab, which can be particularly challenging for those far from home. “There are days when I’m in the lab from morning until late at night, more often than not it’s because my seniors didn’t leave yet rather than me having something to do.” shares Elena Petrova, a Russian student working on a physics project. “It’s tough, especially when you’retrying to manage your studies, research, and personal life all at once.”

 

Korean students at GIST, who often work closely with their international peers, acknowledge the challenges faced by foreign students but also recognize the benefits of their presence in the lab. While everyone is under pressure to achieve, Jisoo Kim, a graduate student in biotechnology, notes that foreign students must contend with extra stressors including language barriers and cultural differences, particularly at lab dinners. “I think most of them are doing an amazing job, but it can’t be easy.” However, some international students have reported feeling excluded in more subtle ways, suchas during social events within the lab.

 

“It was disheartening to see my Korean colleagues celebrating each other’s birthdays with cakes and gatherings, while my own birthday passed without acknowledgement,” expresses Amara. “It’s these small things that make you feel like an outsider, despite all the hard work you put in. My lab members left me out so they could have lab dinner with the professor without having to worry about speaking english.” stated Nate, a Masters student from Germany.

Language remains a significant hurdle, as Jisoo notes. “Even though we use English in official meetings, it’s natural for us to switch to Korean sometimes, especially when explaining something complex. I try to be conscious of this and include everyone, but it’s something we all need to work on.”

 

Minho Park, another engineering student at GIST, emphasizes the positive impact international students have on the research environment. “Having students from different countries brings fresh ideas and perspectives that are invaluable in solving complex problems,” he says. “Their contributions make our research stronger.”

 

Despite the obstacles, many international students at GIST remain optimistic about their academic journeys. They stress the importance of open communication and mutual support in overcoming the challenges they face. “I’ve learned to speak up more and not be afraid to ask questions and stand up for my rights,” says Amara. “Building good relationships with my colleagues has been key to making the most of my time here.”

 

GIST is also making strides to support its international community by offering language assistance and cultural programs designed to help foreign students acclimate. “We are committed to creating an inclusive environment where all students can thrive,” says Professor Lee, a faculty member at GIST. “Providing resources to help international students succeed is a priority for us.”

 

As GIST continues to grow as a leading research institution, the experiences of its international students will play a crucial role in shaping its future. Even if there are still obstacles to overcome, the innovative spirit amongst international and Korean students has the ability to boost GIST’s standing internationally.

Triple rooms, the solution for the exceeded dormitory

0
Comparison between double room and triple room in dorm A

Starting in this fall semester, triple rooms will be operated in the university dormitory. This is the solution from GIST after the dormitory capacity exceeded in February. At the time, 888 students requested the university dormitory. However, the capacity was 864 people, which led to 24 students moving to the graduate student dormitory.

 

Triple rooms in dormitory A, a 34% cheaper fee

From this fall semester, 14 rooms in Dormitory G and 14 rooms in Dormitory I (total 28) will be operated as triple rooms. Since 2017, the school converted 28 rooms in the dormitory building A to be used as triple rooms in case of a shortage of rooms. After renovating the triple rooms this year, the triple rooms are now available to use. Triple rooms will not be operated in the dormitory building B because of the lack of space for renovation.  Among the 28 triple rooms, eight are for men, and 20 are for women. Currently, there are no plans to add new triple rooms.

Compared to double rooms, triple rooms have lower fees. As of 2024, the dormitory fee for a triple room is 70,000 won per month. This is approximately 34% cheaper than the dormitory fee for a double room, which is 106,100 won monthly. The area of a triple room and double room also differs. On average, a triple room is 8.3 m^2, including an indoor balcony, larger than a double room in the dormitory building A, which is 6.8 m^2. Soo-jung Park at the Section of Student Services said, “The triple room is convenient because it has an indoor balcony.” In addition, wireless vacuum cleaners are provided free of charge to residents of triple rooms.

Comparison between double room and triple room in dorm A

The change to triple rooms, opinions of actual users

Ahn Dong-yeon (Liberal arts and sciences, 24), a student using a triple room this fall semester, said he decided to use a triple room after examining various benefits given to users of the triple room. “When I entered the triple room at first, it felt a bit small for three people to live in, but there were no serious inconveniences,” said Ahn Dong-yeon. “However, with the bunk bed, there is no storage space under the bed, and this is inconvenient.” A triple room is about 1.5 m^2 compared to a double room based on the A-dong. However, the decrease in the area per person makes it feel small to use, according to the student. Not all triple rooms are the same size, and some differences exist, which can result in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erson.

 

 The use of triple rooms sorts out the exceeded dormitory problem

This fall semester 2024, 9 male students (total three rooms) applied for the triple room, and no female students applied.

Staff Park said that the increase in university students is a temporary phenomenon and that the overcrowded dormitory problem has been resolved for now by measures such as using triple rooms and graduate school dormitories.

 

번역 김상우 기자

swkim0211@gm.gist.ac.kr

 

 

총학생회 공동포럼, 오늘날 학생 자치 역할 모색

0
1부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의견 수렴과 활동 지속으로 효능감 키워야

지난 8월 26일, 한국대학총학생회 공동포럼(이하 공동포럼)이 서울특별시의회와 함께 ‘서울시 청년정책 및 학생 자치 활성화를 위한 대학생 토론회’를 개최했다. 9개 대학(▲경희대학교 ▲고려대학교 ▲서강대학교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DGIST ▲GIST ▲KAIST ▲UNIST) 총학생회 전·현직 인사가 모여 서울시 청년정책의 실효성과 영향을 평가하고 오늘날 학생 자치가 맡아야 할 역할을 제언했다.

 

당사자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행사 1부에서는 ‘서울시 청년정책 톺아보기’를 주제로 패널 토의가 이뤄졌다. 1부 발제를 맡은 봉건우 前 경희대학교 총학생회장은 “복지국가로 나아가고 있는 대한민국의 정책 방향을 토대로 ‘불균형 해소’와 ‘사회안전망 구축’이 필요하다”라고 제언했다.

좌장을 맡은 연세대학교 함형진(신학과, 19) 총학생회장은 “당사자라 할 수 있는 청년의 구상에서 발전한 청년정책의 뿌리를 되돌아봐야 한다”라며 행사 1부를 정리했다. 박종진 비대위장은 정책 입안자가 바쁜 일상으로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정책 당사자를 직접 찾아다닐 수 있는 행정 절차가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김지은 前 회장은 “대학생이 밀집되기 쉬워 대학생 중심 정책이 많지만, 모든 청년이 대학생은 아니”라며 청년정책의 방향성에 제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1부 행사에서 패널 토의가 진행되고 있다

 

무기력 속에서 흩어진 학생회

학생 자치는 학생들이 직접 학생회를 조직하고, 자신들의 문제를 스스로 고민하고 결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과거 강한 목소리로 뭉쳤던 학생 자치는 민주화라는 대업 달성 이후 나아갈 목표를 잃고 분열했다. 오늘날 총학생회 선거는 학생들의 무관심 속에 후보조차 나오지 않는 경우도 허다하다.

2부 주제는 ‘학생 자치 위기론에서 역할론의 전환’으로, 박현민 공동포럼 사무처장이 발제를 맡았다. 박 처장은 구성원의 공통 문제에 집중하던 과거 총학생회의 모습이 지금은 호응을 얻지 못한다고 꼬집었다. 과거 총학생회는 학생회장에게 비대한 권력을 줘 강한 목소리를 낼 수 있으나, 그 외 의견이 무시당하기 쉬운 구조라는 해석이다.

학생 자치 위기의 원인을 학생에서 찾는 패널도 있었다. DGIST 김민성(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22) 총학생회장은 학생 자치를 꺼리는 사회 분위기와 학생 자치 활동 자체에 대한 무기력함이 학생 자치 위기로 이어졌다고 발언했다. 한편, 양태규 비대위장은 “학생들이 목소리 내기에 여유가 없으므로 대표자가 나오지 않는 상황”이라며 “학생 자치의 위기는 학생만의 문제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공동체성 위기개인 의제로 풀어야

박 사무처장은 오늘날 총학생회의 역할로 개인의 일상 문제 해결과 현안 개선을 꺼냈다. 박 처장은 총학생회가 청년과 미래세대의 정체성을 가지는 대학생을 대표해 대학생의 이해와 요구에 맞는 정책과 활동을 펼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박 처장은 총학생회의 역할이 정책과 제도로도 확립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2부 토론에서 좌장을 맡은 KAIST 김성원(화학과, 23) 부총학생회장은 학생 참여를 늘리기 위해 의제마다 TF를 구성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DGIST 김민성 회장은 학생들이 학생 자치에 참여해 학교에 의견을 전달하고 그로부터 변화를 확인한 이후에는 학생 자치에 대한 분위기나 시각이 달라지고 참여도가 높아졌다며 변화 사례를 소개했다.

 

지속 가능한 구조 역시 중요

고려대학교 김서영(국어교육과, 21) 총학생회장은 “학생회는 1년 하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며 학생 자치에서 ‘연결’을 강조했다. 김서영 회장은 장기 프로젝트 설정, 인수위원회를 통한 사업 집행과 의결 기능이 이어지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양태규 비대위장은 학교가 학생의 의견을 수렴하는 구조를 마련해야 진정으로 학생의 생활환경이 개선된다고 주장했다. 양 비대위장은 학생대표단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반대 의견도 수렴하는 민주적 운영이 가능하게 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2부 패널은 총학생회가 학생 의견을 모으고 전달하는 역할에 집중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제도권에는 학생회 활동 지속을 뒷받침하는 노력을 요구했다. 김민성 부회장은 “앞으로 총학생회를 통해 많은 사람이 의견을 내고, 그것이 실현될 수 있는 사회 분위기가 만들어졌으면 좋겠다”라고 밝혔다. 양 비대위장은 학생회 활동이 손해가 아니라 가치 있는 일이 되길 바란다며 발언을 마쳤다.

끝나지 않은 코로나와의 전쟁

0
KP.3 변이에 의한 코로나19가 재유행했다

지난 8월 21일 질병 관리청(이하 질병청)은 여름철 코로나19 유행 상황 대국민 브리핑을 진행했다. 8월 둘째 주 코로나19 입원 환자 수는 7월 둘째 주의 9.2배에 달한다. 방역 당국은 코로나19 유행 규모를 주간 최대 20만 명 이내로 추정했다.

KP.3 변이에 의한 코로나19가 재유행했다

 

신종 변이 KP.3, 이전과 달라진 점은

최근 코로나19 재유행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바이러스는 오미크론 계통의 KP.3이다. KP.3 변이에 의한 코로나19 증상은 고열, 기침, 인후통, 미각 및 후각 상실 등으로 이전 코로나 증상과 비슷하다. KP.3 변이 감염 시 중증도와 치명률 또한 기존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와 비교해(0.05%) 큰 차이는 없다고 드러났다.

문제는 KP.3의 강한 전파력이다. 기존 바이러스에서 3개의 추가 변이(S 단백질)가 나타나 면역 회피 능력이 강해진 KP.3는 약 22%가량 빠른 감염 속도를 보인다. 질병청은 증가한 전파력이 재유행 발발에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하향된 코로나19 위기 단계와 우려의 목소리

그러나 질병청은 지난 5월 코로나 위기 단계를 ‘관심-주의-경계-심각’의 네 단계 중 ‘경계’에서 ‘관심’으로 하향 조정했다. 코로나19의 ‘관심’ 단계가 유지되면서 코로나19 확진자의 격리는 의무에서 주요 증상이 호전된 후 24시간 격리 권고로 바뀌었다. 요양병원과 같은 감염 취약 시설 입소자에 대해서도 선제 검사를 의무에서 권고로 바꿨으며, 마스크 착용도 마찬가지다.

한편, 위기 단계 조정으로 인해 코로나19 관련 정부 지원의 폭도 줄었다. 오는 10월 중 시작되는 코로나19 예방접종은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65세 이상 고령층과 면역저하자 및 감염 취약 시설 입원자에게만 무료 접종이 이뤄진다. 고위험군이 아닌 12세 이상 일반 국민은 개인이 비용을 부담한다. 또한, 코로나19 치료제의 무상 지원은 종료됐고 고위험군이 아닌 확진자의 통증 치료는 감기처럼 병원에서 증상별 처방을 받는다.

무엇보다 코로나19의 재유행 조짐이 나타나며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된 것은 코로나19 검사다. 위기 단계가 하향되면서 코로나19 검사 비용 지원 대상이 축소됐다. 정부는 유증상자 중 ▲먹는 치료제 대상자 ▲의료 취약 지역 소재 요양기관 ▲응급실 내원 환자 ▲중환자실 입원 환자에게 신속항원검사(RAT) 비용을 일부 지원한다. 그러나 이외의 환자는 건강보험 비급여가 적용돼 RAT은 1~3만 원, PCR은 5~6만 원 정도의 비용을 전액 부담해야 한다. 이러한 코로나19 유료 검사에 ‘숨은 확진자’가 더욱 늘어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때늦은 정부 대처, ‘뒷북 행정논란

질병청은 대국민 브리핑에서 코로나19 치료제 공급에 예비비(3,268억 원)를 편성해 26.2만 명분을 추가 확보했다고 밝혔다. 추가 확보한 물량은 10월까지 고위험군에 공급될 예정이며, 10월 이후부터는 일반 의료체계 내에서 치료제가 공급될 수 있도록 건강보험 등재를 소관 부처와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자가진단 키트 부족 사태에 관해서도 수요에 따라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수급 상황을 계속해서 점검하고 있으며, 국내 제조업체 10개소에서 자가검사키트 325만 개를 생산하고 유통 중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이러한 코로나19 치료제의 급여화에 관한 요구가 1년 전부터 이뤄졌다는 것이다. 정부가 치료제를 일괄 구매해 나눠주는 기존 방식으로는 빠르게 변화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어렵다. 치료제가 건강보험 급여에 등재되면 의료기관과 약국이 개별 판단하에 필요한 물량을 조달할 수 있고, 감염 환자를 최전선에서 만나는 의료진들이 코로나19 유행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한 상급종합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치료제가 급여 등재 후 병원 DC(약제 위원회)를 거쳐 민간 영역으로 이미 넘어왔다면 7월 코로나19 환자들이 점점 늘기 시작할 때 각 병원이 제약사와 얘기해서 수급을 조정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부의 ‘여름 유행’ 예측에 실패하며 치료제 품귀 현상이 발발했다. 대한감염학회 관계자에 따르면 올여름이 시작되기 전 다국적 제약사에서 우리 정부에 치료제가 더 필요한지 문의했지만 정부는 재고가 충분하다고 답변했다. 정부가 뒤늦게 확보한 치료제 물량은 병의원과 약국에 도달해 국민이 실제로 처방받아 복용하기까지 최소 일주일 이상 걸릴 전망이다. 한 박자 느린 정부의 대처에 일각에서는 ‘뒷북 행정’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치료제 수급에 대해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 8월 20일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지난해 9월부터 협의를 시작했지만, 생산자(제약사)와 단가 문제가 있었던 것 같다”라고 밝혔다.

한편, 대국민 브리핑에서도 코로나19 진단과 검사비, 치료제 의료 보험 미적용 등에 대한 부담을 어떻게 해소할 것인지에 관한 답은 이뤄지지 않았다.

폭염 속 스콜과 유사한 소나기 빈번···

0
이번 여름 광주 지역에서 일명 '스콜성 강우'가 관찰됐다

아열대 기후에 접어든 광주전남 기후

최근 들어 소나기를 피해 뛰어간 경험이 한 번쯤은 있었을 것이다. 올여름 광주에서는 폭염이 이어지는 날씨 속 짧은 시간 강한 소나기(국지성 호우)가 내렸다 그치는 현상이 유독 잦았다. 폭염에 주기적으로 내리는 강한 소나기는 열대 기후에서 보이는 ‘스콜’ 현상을 연상케 한다.

 

뜨거웠던 광프리카의 여름

올여름은 광주·전남 여름철 평균 기온과 열대야 발생 일수 역대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지난 5일 광주기상청이 발표한 ‘2024년 여름철(6~8월) 기후특성’에 따르면 광주·전남 평균기온은 26도로 평년(24.2도)보다 1.8도 높았다. 전국적으로 기상관측을 시작한 1973년 이후 역대 가장 높은 수치다. 습하고 더운 공기가 지속해 유입되면서 열대야 발생 일수도 역대 가장 많았다. 올해 열대야 일수는 29.1일로 평년(11.1일) 대비 2.6배에 달했다. 일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폭염일수는 광주·전남에서 평년(7.3일)보다 3배 많은 24.2일로 집계됐다. 2018년(25.9일)과 1994년(24.3일)에 이어 역대 3번째다.

폭염이 밤낮 구분 없이 맹위를 떨치면서 무더위로 인한 피해도 잇따랐다. 9월 4일까지 지역에선 온열질환자가 광주 62명(사망 1명), 전남 367명(사망 3명) 등 총 424명 발생했다. 더위로 인한 가축·수산 피해도 잇따랐다. 폐사 가축은 21만 3천 마리에 달해 37억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수산 분야에서는 어류 총 627만 8천 마리가 폐사했다. 9월 4일까지 추산된 피해액은 171억 원에 달한다.

 

스콜닮은 소나기 잦아져

스콜은 뜨거워진 공기가 상승하다가 대기 중 수분이 포화 상태에 이르러 순간 폭발하는 것으로 낮 동안 강한 햇볕으로 지표 수분이 증발해 오후쯤 한번에 퍼붓는 강수 현상이다. 올여름 폭염 속 갑작스럽게 내린 짧고 강한 소나기는 열대 기후에서 보이는 ‘스콜’ 현상을 연상케 한다.

기상청은 현재 국내에서 발생하는 국지성 호우를 스콜로 보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스콜은 열대 지역에서 낮 시간대 지표면의 가열로 공기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정체된 채 그 지역에서만 쏟아진다. 반면, 소나기는 비구름 크기, 바람의 방향 등 외부 비구름 유입의 영향을 받아 비가 그친 뒤에도 사라지지 않고 다른 지역으로 이동한다. 또한 스콜은 낮에만 발생하는 반면, 소나기는 새벽이나 아침에도 내릴 수 있다는 시간적 차이도 있다. 최근 들어 초단기 장맛비가 반복되는 이유는 비구름이 폭발적으로 발달하는 대기 불안정이 심해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여름 광주 지역에서 일명 ‘스콜성 강우’가 관찰됐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런 소나기는 스콜은 아니지만 스콜과 닮아 있다고 해서 스콜성 강우라고도 부른다. 일반적으로 건조한 공기가 원인인 소나기는 강수 이후 날씨가 선선해지는 특징이 있지만 최근 광주·전남에서는 주기적으로 소나기가 내린 후에도 급격한 온도변화는 없다. 오히려 습도만 올라가 체감온도만 치솟고 있다. 이러한 스콜성 강우는 한반도가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아열대 기후에 접어들고 있다는 분석과 맞물려 있다. 트레와다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아열대 기후는 온대기후(최한월 기온 0도~18도) 중 월평균 기온이 섭씨 10도 이상인 달이 연중 8개월 이상인 기후다. 최근 10년(2014~2023년) 광주 지역에서 연중 8개월 이상 월평균 기온이 10도를 넘은 해가 10년 중 절반 이상인 7년에 달했다. 사실상 광주는 이미 아열대 기후라는 것이다.

남부지방이 이미 아열대 기후 특성을 보이면서 여름철 비 피해는 장마나 태풍으로 끝나지 않는다는 우려도 나온다. 그동안 7월 장마와 8~10월까지 각종 태풍이 접근하며 비 피해가 발생했지만 ‘스콜성 강우’가 끼면서 언제든 물폭탄을 맞을 가능성이 커졌다는 예상이다.

 

한반도가 아열대 기후로 바뀌는 건 시간 문제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아열대 기후 지역으로 분류되는 곳은 전국 45곳으로 이는 불과 1년 전인 2021년의 29곳과 비교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이르면 2050년에 고지대를 제외한 한반도 남부지방 대부분이 아열대 기후로 변할 것으로 전망했다. 21세기 후반기(2081~2100년)에는 우리나라 전역이 아열대 기후로 변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아열대 기후가 되면 1년 중 9개월 이상 기온이 영상 10도 이상으로 올라가고, 한 해 강수량이 2,000㎜ 정도로 늘어난다. 이는 우리나라 평년(1991~2020년) 연 강수량(1,306.3㎜)의 거의 2배에 가까운 수치다.

 

기후-변화로 인해 기상 패턴은 분명히 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기상 관측 시스템과 대비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기후 변화에 대한 선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GIST 학사 1기 졸업생, 교단으로 돌아오다

0
(사진=이상준 교수)
(사진=이상준 교수)

지난 7월, GIST 학부 졸업생이 처음으로 모교 교수로 부임했다. 이번에 GIST 의생명공학과로 부임한 이상준 교수를 만나 연구 계획과 교수가 되기까지의 과정, 후배들에게 조언을 물었다.

 

모교에 부임한 이상준 교수

이상준 교수는 GIST 10학번이자 1기 학사 졸업생으로, 생명과학부를 졸업한 후 Caltech(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신경생물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POSTECH에서 연구 생활을 거쳐 올해 GIST 의생명공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그는 ‘뇌-신체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행위 중독 진단에 필요한 의료 기술을 연구한다. 주로 거식증, 탄수화물 중독 등의 섭식 장애와 마약 중독을 다룬다.

이 교수는 모교에 신임 교수로 부임한 포부로 “편안하지만, 한편으로는 책임감이 느껴진다”라고 밝혔다. 그는 “학사 과정 4년을 지낸 학교에 돌아와서 편안한 마음이 들면서도, 1기 졸업생 선배로서 좋은 본보기가 되고 싶어 책임감을 느낀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앞으로의 가장 큰 목표는 열심히, 좋은 연구를 지속하는 것이다”라고 밝히며 이를 이루기 위해 GIST에 부임했다고 말했다.

 

GIST에 받은 기회, 학생에게 베풀 것

이 교수는 부임 후의 계획으로 학부생 인턴을 적극 모집할 것을 밝혔다. 학부생 인턴 모집을 강조한 특별한 이유를 묻자, “GIST에 받은 기회를 다시 후배들에게 베풀고 싶다”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GIST에 학부생으로 재학 당시 Caltech SURF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등 많은 지원을 받았다. 학교의 지원에 대해 “현재까지도 이루어지는 해외 대학 여름학기 파견 등 다양한 기회는 학생들의 견문을 넓히고 값진 경험을 제공한다”라며 이 교수는 설명을 덧붙였다.

이 교수가 학부생 인턴 모집을 언급한 또 다른 이유로는 GIST 학생들이 매우 우수하다는 점이 있었다. “과학기술원만큼 연구 역량이 우수한 학교는 많지 않으며, GIST처럼 실제 실험실에서 실험 경험이 있는 학생은 드물다”라고 말했다. 연구실에 찾아가기를 망설이는 학생에게 그는 교수가 아닌 선배로서 학생들에게 다가가고자 하는 바람을 공유했다. “연구실에 찾아오기까지 주저함이 있을 수 있지만, 교수에게 메일을 보내거나 연구실을 찾아오는 것을 어렵게 생각하지 말아 달라”라고 부탁했다.

 

신체 상호작용을 통해 행동의 기전을 파악하는 연구

시스템 신경과학 분야에서 ‘뇌-신체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이 교수는 신경계 신호를 분석해 신체 행동을 이해한다. 섭식 장애와 마약 중독을 분석해 해당 행위 중독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연구가 중점이다. 박사후연구원 당시에는 주로 약물이 신경 회로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중심으로 연구했지만, 현재는 조금 더 의학적인 연구를 계획 중이라고 한다. 그 예로, 쾌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식욕 연구를 들었다. 배고프지 않아도 무언가를 먹고 싶은 현상을 뇌과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또, 뇌의 변화를 측정하는 바이오 마커로 정신 질환을 진단하는 연구도 언급했다.

이 교수에게 가장 뜻깊은 연구는 2019년 국제 학술지 네이처(Nature)에 게재된 ‘Chemosensory modulation of neural circuits for sodium appetite’이다. 당시 실험실의 첫 구성원끼리 모두가 미숙한 상황에서 결과를 만들어낸 것이 값진 경험이었다고 밝혔다. 해당 논문은 그가 신경 회로에 따른 생물의 행동 변화를 처음 관측한 연구로, 소금 섭취 관련 신경 회로를 밝혀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실험 과정에서 소금 섭취 욕구를 발생시키는 프로디노르핀을 발현하는 신경 회로를 발견하였고, 이 뉴런을 활성화해 소금이 결핍되지 않은 쥐도 소금을 먹으러 가는 것을 확인했다고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이 교수는 소금이 체내에 흡수되기 전, 짠맛을 느끼는 것만으로도 소금 섭취 욕구가 충족됨을 밝혔다.

이 교수에게 현재 연구 분야를 결정한 계기를 묻자, “신경 회로에 따라 뚜렷한 행동 변화를 직접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을 느꼈다”라고 대답했다. “대학원에 처음 진학했을 당시에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싶었지만, 여러 연구실을 경험하다 보니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그러던 중 신경 회로를 즉각 활성화할 수 있는 ‘광유전학’이라는 기술을 알게 되었고, 행동 변화를 눈으로 직접 볼 수 있다는 점이 재미있어 지금의 연구로 이어졌다”라고 이 교수는 설명했다.

그는 연구 분야를 정할 때 유행이나 추세를 따라가기보다 자신이 재미있고 원하는 것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하며, 이를 위해 연구뿐만 아니라 많은 경험을 해볼 것을 권했다. 구체적으로, 학교에서 제공하는 여러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학생 자치회 활동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경험이 큰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해당 활동에서 아이디어를 실제로 내고 실현함으로써 자신감을 가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자신의 길을 개척한 선배의 조언, “하고 싶은 것을 찾아라

이 교수는 교수가 되기까지 자신의 길을 개척해 갔다. GIST 학부 첫 입학생이라는 점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는지 물었을 때, “과학기술원이 좋은 학교임을 알고 있어서 새로운 곳에서 시작하는 것에 두려움이 없었다”라고 설명하며, “오히려 새롭게 시작할 수 있는 것이 많다는 점이 흥미로웠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이 교수는 GIST의 선거 시행 세칙을 만들고, 전공 대표 제도를 처음 도입하기도 했다. 이러한 도전 정신이 이어져 이 교수는 GIST 학부 출신 중 최초로 유학을 간 졸업생이 됐다. 이 교수는 학부 4학년 때 Caltech SURF 프로그램에 참여했는데, 이는 연구자로서 시야를 넓히는 계기가 돼 유학을 선택했다고 한다.

유학에 관해 언급하면서 이 교수는 유학이 목적이 아닌 수단이 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당시 기술 개발 연구에 유학이 좋으리라 판단해 유학을 선택했지만, 모든 사람에게 추천하지는 않는다. 유학을 목적으로 생각하기보다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고 설명했다. 해외 대학원 진학을 결정한 학생들에게도 같은 조언을 남겼다. 하고 싶은 분야를 명확히 찾는 것이 중요하며, 계획대로 진로가 펼쳐지지 않더라도 목표를 향한 준비 과정이 미래를 위한 밑거름이 된다는 것이다. 이에 더불어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아는 준비된 사람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또 다른 기회를 만들 수 있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이 교수는 Caltech SURF의 경험을 발판 삼아 Caltech에 진학하고, 이에 그치지 않고 좋은 논문을 출판함으로써 지금의 교수까지 될 수 있었다.

대학원에서 연구하려는 분야를 끝까지 수행할 수 있을지도 고민해야 한다는 조언을 덧붙이며 진로 탐색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언급했다. 대학원에서는 평점이 높은 사람이 아닌, 그 분야에 잘 맞는 사람을 선발하기 때문이다. 또한, 좋아하는 분야를 찾아 대학원에 진학했다면 연구 주제 선정을 위해 더 세부적으로 고민해야 하므로 그 분야의 논문을 많이 읽어야 한다고 전했다. 논문을 통해 해당 분야를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최근 흐름을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다. 더불어, 질문하는 능력도 중요하다고 첨언했다. 교수나 동료 대학원생 등 해당 분야에 연구를 지속한 사람이라면 자신의 연구를 알리고 싶어할 것이므로 질문이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후배들에게 남기는 말

Q: 연구가 뜻대로 풀리지 않는 경우도 많은데, 이런 상황을 어떻게 극복하는지?
A: 연구가 뜻대로 풀리지 않는 것은 모든 연구자가 겪는 상황이다.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겠지만, 결국에는 주변에서 도움을 받아야 한다. 연구가 계속 풀리지 않는 것은 너무 몰입되어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환기가 필요하다. 주변 연구자와 아이디어를 이야기하고 공유해 봐라.

그리고, 문제를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지 말아라. 과학자는 복잡한 문제를 간단하게 푸는 사람이므로, 연구가 막막할수록 간단하고 과감하게 생각해야 한다. 또한, 과학자는 기본적으로 연구가 안 풀리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았으면 좋겠다. 처음에 연구를 시작하면 본인의 기대와 다르게 실험이 너무 안 된다는 것을 가장 먼저 느낄 것이다. 본인뿐만 아니라 사실은 모두가 비슷한 고민을

한다. 이를 감내하고 끝까지 시도하다 보면 결국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Q: GIST 학부 졸업 출신 처음으로 GIST 교수로 부임하면서 GIST 학생들에게도 무한한 기회가 있음을 보인 것 같다. 이 외에도 GIST 학부 출신으로 다양한 방면에서 성공한 사례를 알고 있는지.
A: GIST 학부 출신으로 성공한 사례는 너무 많다. 국내외 게임 회사, 의사, 벤처 투자 회사, 연구자, 교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공하고 사회에서 뻗어나가고 있다. 대학원에서도 마찬가지다. GIST 학부 역사가 짧다고 걱정하지 말고, 학부생도 GIST 교육을 믿으며 자신감을 가지고 노력하면 좋겠다. 선배들은 시작에 불과하다. 후배들이 더 뛰어나게 성장하고 더 나아지리라 확신한다. 또한, 다방면으로 뻗어나간 선배들이 많은 분야에서 후배에게 도움을 줄 수도 있으리라 생각한다.

Q: 마지막으로 학생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면?
A: 뇌-신체 상호작용 연구실에 많이 지원해 줬으면 좋겠다. GIST 1기로서 후배들과 함께하고 싶다. 후배들이 연구실에서 기량을 펼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격동의 미국 대선, 모든 것이 다른 두 후보

0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총격 사건과 바이든 대통령의 건강 이상설로 승리가 확실해 보였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율이 민주당의 후보 교체로 흔들리고 있다. 성별, 연령대, 정치적 성향까지 모두 다른 두 후보의 한반도 및 기후 위기에 대한 상반된 정책을 살펴봤다.

 

주한미군 철수? 유지?

미국 대선의 결과가 한반도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심과 걱정이 커짐과 동시에 ‘주한미군 철수론’이 다시 수면 위로 올라오고 있다. 지난 5월, 수미 테리 미국 외교협회 선임 연구원은 트럼프가 대선에서 승리한다고 해도 주한미군이 바로 철수하거나 감축하는 것은 아니지만, 지금까지 트럼프의 주한미군에 대한 태도를 생각해 보면 현 규모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주한미군 유지 조건으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그는 지난 4월 ‘한국에서 군대를 철수할 것이냐?’는 질문에 “나는 한국이 우리를 제대로 대우하길 바란다”면서 위태로운 위치에 미군들이 있다고 말했다. 이 발언은 자신이 재집권에 성공했을 때 한미 간 주한미군 주둔 비용 분담 협상 등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주한미군 감축 또는 철수로 압박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고 해석된다. 실제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임 동안 “부자인 한국이 방위비 분담금을 너무 적게 낸다”며 그 비용을 5배로 인상할 것을 주장했고 그렇게 하지 않으면 주한미군을 철수할 수 있다고 으름장을 내놓았다.

카멀라 해리스는, 기존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2023년 주한미군 유지 정책을 따를 것으로 보인다. 지난 8월 18일 미국 민주당이 발표한 새 정강 정책에는 주한미군 철수 등 공화당 대선 후보인 트럼프 전 대통령의 한반도 정책 비판과 한미 동맹을 강조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해리스, 바이든 대북 정책 계승… 트럼프는 3차 회담 진행

트럼프는 유세 현장에서 북한을 자주 언급했다. 재임 당시 자신이 북미회담을 두 차례 개최하며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한 덕분에 미국에 북한발 위협이 없었다고 말했다. 트럼프는 지난 8월 12일 SNS 플랫폼 ‘X’에서 일론 머스크와 담론을 나눌 때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little rocket man’이라고 칭하며 친분을 과시했다. 임성남 전 외교부 차관은 BBC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가 재임 당시 회담을 성사한 업적이 있으니, 추가 회담을 통해 그 업적을 발전시키고 싶어 할 것”이라며 3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또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두 번의 북미정상회담에서 재미를 봤기 때문에 3차 회담을 통해 성과를 내려 한다는 분석도 있다.

미국 민주당은 전당대회를 앞두고 발표한 새 정강 정책에서 한반도 관련 내용을 14차례 언급했다. 정강 정책은 “트럼프가 김정은에게 아첨하는 러브레터를 주고받으며 세계 무대에서 미국을 당황스럽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또한 “트럼프가 주한미군 철수로 동맹국인 한국을 위협했다”며 트럼프 대통령 재임 시절 한반도 정책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어서 “북한의 도발에 맞서 한국 편에 서 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며 동맹국을 지키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미국 민주당은 이번 정강 정책에서 2020년에 기술했던 ‘한반도 비핵화라는 장기적 목표’를 빼고 북한에 대응하는 동맹국과의 공조 노력 등만 기술했다. 위와 같은 지적에 “한반도 비핵화라는 목표에는 변함이 없다”고 단언했다. “한반도 비핵화는 조 바이든 행정부의 목표로 남아 있으며, 카멀라 해리스 행정부에서도 그럴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현지 언론에서는 새 정책내용의 변화가 대화를 통한 비핵화라는 목표가 현실적으로 이뤄지기 힘들다는 인식을 반영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극과 극의 에너지-기후 정책

‘drill baby drill’, 트럼프 전 대통령의 2기 에너지 정책의 핵심이다. 석유 시추 가능 지역의 규모를 늘려 화석연료 개발을 확대하고 이를 통해 유가를 낮춰 인플레이션도 잡겠다는 내용이다. 더불어 풍력발전 보조금을 중단하고 화석연료 생산업자에게 매기던 세금을 인하하겠다고 주장했다. 트럼프의 러닝메이트인 J.D 밴스 공화당 상원의원이 화석 연료 산업의 적극적인 지지자라는 것은 트럼프의 기후 위기 해결에 회의적인 태도를 다시 한번 보여준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집권 당시 탈퇴한 ‘파리 기후 협정’을 바이든 정권에서 다시 가입했지만 11월 재집권에 성공하면 파리협정을 재탈퇴할 계획임을 밝혔다. 바이든 정권이 도입한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와 전기차 보조금도 없애겠다고 말했다. 또한 파리 기후 협정뿐만 아니라 바이든 행정부의 핵심 경제 정책이었던 IRA(Inflation Reduction Act)*를 ‘new green scam’으로 부르며 폐지 의지를 보였다.

게다가 미래의 기후, 에너지 문제보다 핵보유국 간의 갈등이나 북한, 이란 등의 핵무기 개발 문제의 해결이 더욱 시급하다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이 논란이다. 지난 8월 12일에 이뤄진 일론 머스크와의 대담에서도 머스크는 기후 위기를 인정하는 방향으로 대화를 유도했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은 “화석연료 사용을 억제할 시급성이 별로 없다”고 말하며 기후 위기를 사실상 부정하는 주장을 다시 강조했다. 오히려 가장 큰 위협은 ‘핵 온난화’라고 말했다.

해리스의 기후 변화 대응 계획은 현재 바이든 대통령의 계획보다 규모가 크다고 평가받는다. 해리스는 2005년 검사 시절부터 ‘환경 정의’ 부서를 만들었을 만큼 환경 관련 활동에 관심을 계속 가져왔다. 2019년 민주당 경선 후보였을 때도 탄소중립을 위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지원금, 프래킹 공법* 금지 등 다양한 환경 정책을 내세웠다. 또한 해리스의 러닝메이트인 팀 월즈 미네소타 주지사는 두 번의 주지사 임기 동안 미국에서 기후변화 대응을 가장 강력하게 지지하는 사람 중 하나로 꼽히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해리스의 기후 정책은 다른 정책들과 마찬가지로 뚜렷한 기후, 에너지 정책을 마련하지 않아 기존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을 따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IRA 정책을 고수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해리스 부통령은 IRA 입안 당시 찬반이 50:50인 상황에서 상원 의장으로서 법안을 통과시킨 바 있다. 하지만 그녀의 현재 태도는 과거에 비해 애매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현지 언론은 “해리스 캠프가 경합주인 펜실베니아가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천연가스 생산지인 점을 의식해 프래킹 공법* 금지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전했다”며 해리스의 모호한 태도를 지적했다. 이런 문제에도 불구하고 기후 위기 대응 계획에 대한 두 후보의 극단적인 의견 차가 있기에 해당 정책이 대선의 결과를 결정지을 수 있는 안건으로 주목받는다.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후보 수락 연설과 7개의 경합주에서 무패를 기록한 해리스의 지지율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9월 10일 두 후보의 첫 TV 대선 토론이 진행됐다. BBC는 이번 토론에 대해서 트럼프가 해리스에 비해 긍정적인 기분을 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경제, 현 행정부의 아프가니스탄 문제 대처, 불법 이민 등 해리스에게 실제 유권자들이 의문을 품는 약점들이 있었지만, 트럼프는 이를 잘 활용하지 못했고 스스로를 방어하고 옹호하는 데 몰두했다고 평가했다. 반면 해리스는 자신의 강점인 낙태 이슈에서 공세를 이어갔으며, 뉴욕 타임스에 따르면 해리스의 토론 공격 시간이 트럼프보다 5분가량 길었다. 보통은 현직에 있는 사람이 공격을 많이 받는 것이 보편적인데 이번 토론에서는 이례적인 결과가 나왔다. 토론 직후 진행된 CNN 여론조사 결과, 해리스가 트럼프보다 TV토론을 더 잘했다고 생각한 비율이 그렇지 않은 것보다 26% 더 높았다.

토론 후 진행된 여론조사에 따르면, 해리스와 트럼프의 지지율 격차는 점점 커져가고 있지만 해리스에게 낙관적이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경합주에서 해리스가 여전히 오차 범위 박스에 갇혀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미국 대선의 승패는 지지율이 높아도 ‘매직 넘버’로 불리는 선거인단 270명을 확보해야 당선을 확신할 수 있다. 8월 11일 기준 538명의 선거인단 중 해리스 캠프는 208명을, 트럼프 캠프는 219명을 확보했다. 2016년 대선 당시 트럼프보다 더 많은 표를 받았던 힐러리 클린턴 후보가 선거인단 확보 수에서 패해 당선되지 못한 것을 고려하면 남은 111명의 선거인단을 누가 먼저 확보하느냐가 대선의 승패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 IRA : 인플레이션 감축법으로 7730억 달러 규모의 예산을 기후변화 대응, 보건 복지 개선, 기업 과세 개편 등에 투입하여 재정적자 해소 및 친환경 경제로의 전환을 통해 인플레이션 감축 효과를 목적으로 한다.

* 프래킹 공법 : ‘수압파쇄법’이라고도 불리며 지하에 매장된 석유, 가스를 추출하는 방법이다. 추출 과정에서 지하수 오염 및 지진의 우려가 있다.

대학생활관 인원 초과, 3인실로 대응

0
Comparison between double room and triple room in dorm A

2024년 가을학기부터 대학생활관 3인실이 운영된다. 지난 2월 대학생활관 신청 인원이 수용 가능 인원을 초과한 사태에 대한 조치다. 당시 대학생활관 수용 가능 인원인 864명에 비해 24명 초과한 888명이 대학생활관 입소를 신청했고, 이에 우선순위에 따라 25명은 대학원생활관으로 이동했다.

대학생활관 2인실과 3인실 비교

3인실은 대학생활관 A동에서 운영, 생활관비는 34% 저렴

2024년 가을학기부터 대학생활관 A동에 속한 G동 14개, I동 14개(총 28개) 호실이 3인실로 운영된다. 이번에 운영되는 3인실은 2017년 대학생활관 호실 부족에 대비해 A동에 증설 계획을 세웠으며 추후에 3인실로 이용할 수 있도록 증설했다. 그러나 기존 3인실의 형태를 갖춘 호실은 3인이 아닌 2인이 이용했다. 해당 호실은 시설 확충 및 행정 문제 해결 후 가을학기부터 본격적으로 3인실로 기능한다. 대학생활관 B동에는 3인실 증설 공간이 없어 운영되지 않는다. 28개 호실 중 남학생 호실은 8개, 여학생 호실은 20개다. 현재 남학생 층과 대학생활관 B동에 3인실 추가 신설 계획은 없다.

2024년 기준 3인실 생활관비는 1개월당 70,000원으로, 2인실 생활관비인 1개월당 106,100원에 비해 약 34% 저렴하다. 그리고 3인실 면적은 실내 발코니를 포함해 평균 8.3 m^2으로 2인실(A동 기준 6.8 m^2)에 비해 넓다. 학생팀 박수정 직원은 “3인실은 내부 발코니가 있어 사용하기 편리하다”고 밝혔다. 추가로 3인실 거주를 희망한 호실에는 무선 청소기가 무상으로 지급된다.

 

3인실로의 전환, 실제 이용자의 의견

올해 가을학기에 3인실을 이용하는 안동연(기초, 24) 학생은 3인실 이용자에게 주어지는 여러 혜택을 살펴보고 3인실을 이용하게 됐다고 말했다. 안동연 학생은 “3인실이 2인실에 비해 총 면적은 넓지만 1인당 면적은 줄어들어서 좁은 느낌이 있다. 심각한 불편을 느끼지는 않으나 이층침대로 인해 침대 아래 수납공간이 없어짐으로 인한 불편함은 있다”고 전했다. 모든 3인실의 크기가 같은 것은 아니라, 호실에 따라 더 좁게 느껴질 수 있다.

그리고 안동연 학생은 “2인실과 비교해 공간이 넓어졌고, 가구나 시설 등이 새것이라는 점이 좋았다. 그리고 무선 청소기처럼 필요한 기구를 제공한다는 점이 좋았다. 2인실과 비교해 3인실 시설 상태는 매우 좋다”고 덧붙였다.

 

3인실 운영으로 인원 초과 문제는 수습

2024년 가을학기에는 남학생 총 9명 (총 3개 호실)이 3인실 거주를 희망했고, 여학생은 희망자가 없었다.

박수정 직원은 재학생 증가는 일시적인 현상이므로 생활관 부족과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고, 3인실 개설과 대학원생활관 입소 등의 조치로 인원 초과 문제는 우선 해결됐음을 밝혔다.

 

만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