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주성’을 포기하면 될까? 이번 학기 지스트신문이 3회 발간되게 되어 4회로 예정한 ‘경제 이야기’도 3회로 줄이려고 합니다. 그래서 분배와 균형발전에 관한 원론적 이야기를 건너뛰고, 최근 이슈로 바로 들어가는 점에 독자의 양해를 구합니다. 올 1분기 실질 GDP 성장률이 전기 대비 –0.3%(전년 동기 대비는 1.8%)로 발표되자 보수 성향의 주요 언론들은 일제히 문재인 정부의 핵심경제정책인...
안녕하세요, GIST대학 문화행사위원회 제8대 부위원장 17학번 이상헌입니다. 저희 GIST대학 문화행사위원회(이하 문행위)는 학우들을 위한 행사를 주도적으로 기획하는 단체인데요. 새내기 배움터, 체육대회, 축제를 비롯한 다양한 행사들을 도맡아 운영해왔습니다. 지난 11월 8일(목)에는 GIST 25주년 기념 축제 가, 11월 10일에는 학생회, 동아리연합회, 문화행사위원회가 합동 기획한 전국 과학기술원들의 체육 및 문화...
저는 GIST 개원 시 교수로 부임, 정년퇴임 때까지 대학원생과 함께 보람된 시간을 보냈습니다. 적잖은 기간이었지만, 되돌아보니 바람처럼 훅 지나간 세월이었습니다. 이제 학부생과 대학원생이 이 넓은 GIST 캠퍼스에서 학구에 매진하는 해맑은 모습이 참으로 정겨워 보입니다. 학생 여러분은 과학기술 영재로 선택받아, 인생 여정에서 젊음의 황금기를 보내고 있습니다. 쉼 없는 면학의 자세,...
저번 주 어느 날, “1년 뒤에 계획 있어?”라고 한 친구에게 물어봤다. 친구는 자연스럽게 “이런저런 과목을 들어 대학원 갈 준비를 하고, 의경에 지원해보고, 떨어지면 다음 학기에 군대에 갈 거고, 학점은 몇 점 정도를 받아야 하고......” 등등 별로 궁금하지 않은 이야기들을 떠벌렸다. 그런 이야기를 듣고 있자니 문득 내 미래가 한 시간의 틈도...
굴곡진 인생을 통해 실험심리학에 씨앗을 뿌리다 역사를 보면 유독 험준한 인생의 골짜기를 지나며 인류에 큰 영향을 준 인물들이 있다. 마지막으로 소개할 구스타프 페히너(Gustav Fechner)가 바로 이런 인물의 범주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페히너는 1801년 독일 남부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난다. 그는 20대 초반의 이른 나이에 의학 박사학위를 받지만 이 후, 물리학과 수학에...
현재 GIST는 커다란 내부 갈등 상황에 놓여 있다. 가장 큰 영향을 준 사건은 대학기숙사 A동 증축공사이다. 필자가 알고 있는 현재 상황은 여름방학과 동시에 시작되었어야 할 증축공사가 지연되었고, 그 결과 가을학기에 와서야 공사를 시작하게 되어 기숙사 A동에 거주하는 학생들과 갈등을 빚고 있다는 것이다. 갈등의 가장 큰 원인은...
“당신은 왜 GIST대학을 선택했습니까?” 이 질문에 대해 우리는 U.C.Berkeley 계절학기 기회, 우수한 연구실적 혹은 저렴한 학비 등 다양한 답변을 기대할 수 있다. 필자의 답변, GIST대학을 선택한 이유는 GIST대학의 교육철학과 특징이었다. 하지만 4년이 지난 지금, GIST대학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서 다소 회의를 갖는다. 최소 5년 이상 중·고등학교에서 우리는 주로 교수자 중심의 강의를...
인류 최초의 실험심리학자, 프삼티크 1세 음악의 아버지가 J.S. 바흐이듯이, ‘심리학의 아버지가 누구일까?’ 라는 질문에 많은 사람들은 ‘프로이트’라는 답을 떠올릴는지 모르겠다. 혹시 인마행1을 수강한 GIST 학부생이라면 ‘빌헬름 분트’나 ‘윌리엄 제임스’라는 이름을 떠올리며 ‘수업 들은 보람이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심리학은 비교적 역사가 짧은 학문이다. 일반적으로 19세기 중반이나 후반에 과학적 심리학이 시작되었다고 많은...

만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