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를 받았습니다. ‘드디어’ 받은 것인지, ‘하는 수 없이’ 받은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차량 등록이 해제된 탓에 방문자 출입구로 과기원을 드나들게 된 것으로 무언가 바뀌었음을 실감하는 요즘입니다. 조금은 기뻐도 될 듯 한데 앞으로 걸어가게 될 여정을 생각하면 부담감에 자못 입을 굳게 다물게 됩니다. 저는 졸업 후 박사후연수과정으로서 연구를 이어가게...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라 지난 2월부터 카페나 식당 내부에서 사용이 금지되었던 일회용품의 사용이 한시적으로 허용되었다. 식당에서는 종이컵, 일회용 수저와 비닐로 만들어진 일회용 앞치마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비대면 방식을 권장함에 따라 배달과 포장 판매가 늘어났고, 택배량 역시 함께 증가했다. 이와 함께 배달이나 포장을 위해 사용되는 일회용 용기나 수저, 택배 박스와 포장지의...
동네 식당에 가면 이전보다 훨씬 많은 손님을 볼 수 있다. 움츠렸던 경제가 다시 기지개를 켜는 듯하여 가슴이 뿌듯하다. 재난지원금으로 식사비를 지급할 수 있는지 문의하는 모습에서 재난지원금이 영세자영업 활성화를 통해 소비 회복에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다. 14조 2,448억 원의 예산을 사용하는 재난지원금은 29일 기준, 수급 대상의 약 95%가 지급신청을 마쳤다. 전체...
선거법 개정, 거대 여당의 등장, 보수의 몰락으로 요약되는 총선이 끝났다. 그리고 21대 국회 개원이 한 달도 남지 않았다. 내용이 얼마나 구체적인지를 떠나 20대 청년을 위한 공약이 나온다는 점은 공정한 사회로 가는 걸음으로 보인다. 공약(公約)이 될지 공약(空約)이 될지는 모르겠다. 지금의 정치 구조에서 과연 효과적인 청년 정책이 만들어질지 묻는다면, 대답은 글쎄다. 대한민국의...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온 나라가 시끌시끌해지기 전에 정말 다행히도 고향 친구들을 직접 만나 함께 정겹게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다. 고향 친구들은 일상적인 이야기들과 사소한 농담으로만 대화 내용을 채워도 허전함 없이 마음이 꼭 통하는 죽마고우로, 오랜만에 만났음에도 우리의 대화엔 어색함이 전혀 없었다. 그렇지만 우리들의 대화 주제는 예전과 사뭇 달라졌던 것 같다. 비록...
최근 동문회 행사를 준비하면서 GIST 졸업생들과 만나 AI대학원, 코로나19 등 여러 가지 주제에 대해 오랜 시간 이야기했던 적이 있다. 그 때 만났던 졸업생들은 주로 광주 내의 정부출연연구소의 연구원, 사업가, GIST의 교수 등 여러 위치에서 활동하고 계셨고, 때문에 활동 영역만큼 다양한 관점에서 해당 주제에 대한 의견들을 들을 수 있었다. 졸업생들은...
안녕하세요. GIST대학 제9대 문화행사위원장이자 작년 4월부터 학생회장의 궐위로 2019년 임시학부대표를 맡았던 이상헌입니다. 이야기에 앞서 제가 학부대표자가 된 과정을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있어 늦게라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저는 자치회장들이 모여 있는 기구인 ‘운영위원회’에서 운영위원장으로 선출됐고, GIST대학 학생회칙 제5장의 제38조 권한대행 항목을 근거로 총학생회 회장단의 직무와 권한을 대행하게 되었습니다. 임기가 끝나가는 이 시점에서...

만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