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주년 5.18 기념식 거행, ‘우리는 모두 광주시민’

0
848
민주평화대행진에 앞서 기념식 슬로건을 들고있는 참가 행렬의 모습이다.
민주평화대행진에 앞서 기념식 슬로건을 들고있는 참가 행렬의 모습이다.

지난 5월 18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42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치러졌다. 이날 기념식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함께, 이례적으로 국민의힘 의원 100여 명과 새 정부의 국무위원도 참석했다. 이날 윤 대통령은 참석자들과 ‘님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며, 이념을 넘어 광주의 민주 정신을 공유하자는 메시지를 내비쳤다.

윤 대통령은 지난 대선 기간 중 꾸준히 ‘호남 동행’의 메시지를 꺼냈던 만큼, 이번 기념사에 관심이 집중됐다. 기념사의 핵심은 ‘국민 통합’이었다. 윤석열 대통령은 “오월 정신이 국민 통합의 주춧돌”이라며 대한민국의 보편적인 가치임을 강조했다. 나아가,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가 세계 속으로 널리 퍼져나가게 해야 한다”라고도 말했다. 또한, 광주와 호남이 민주주의라는 가치 위에 경제적 성취를 이뤄야 함을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자유와 정의, 그리고 진실을 사랑하는 우리 대한민국 국민 모두는 광주시민”이라는 말로 연설을 마무리 지었다. 줄곧 제창, 합창 논란(*)에 시달렸던 ‘님을 위한 행진곡’도 한목소리로 울려 퍼졌다.

윤 대통령은 5.18 기념식에 매년 참석할 것을 약속했다. 5.18 헌법 전문 수록, 진상규명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는 만큼, 새 정부의 대응에 귀추가 주목된다.

 

다채로운 기념행사로 물든 5월의 광주

광주 전역에서 다양한 기념행사가 5월 한 달을 수놓았다. ‘오월, 진실의 힘으로! 시대의 빛으로!’를 슬로건으로 한 올해 행사는 광주의 청소년, 청년, 시민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이하 5.18 행사위)는 14일 ‘국민대회’를 시작으로, 추모, 기획, 계승, 시민 공모 사업을 주최했다.

기념행사는 기념식 하루 전인 5월 17일, 금남로 일대에서 절정을 맞았다. 17일 낮부터 진행된 ‘오월시민난장’을 시작으로 풍물패 공연, ‘민주평화대행진’ 추모 행렬로 이어졌고, ‘5.18 전야제’를 끝으로 마무리됐다. 코로나19 이후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첫 기념행사인 만큼, 많은 군중이 모여 뜨거운 분위기를 자아냈다.

동시에 진행된 문화 예술 행사도 돋보였다. ‘오월시민난장’이 진행되는 금남로에서 댄스팀의 경연이 진행됐고, 거리의 부스에서는 예술인들의 작품 전시, 시민 참여형 미술 공연이 이뤄졌다. 주먹밥 나눔 등 지역 시민들이 진행하는 행사도 함께 열렸다. 행사에 참여한 시민들은 5.18 당시 시민 공동체의 분위기를 재현하듯 하나 된 모습을 자아냈다.

본격적인 행사의 시작을 알리는 ‘민주평화대행진’에는 각계각층 시민, 5.18 피해자 유족과 정치권 인사들이 참여했다. 수창초등학교 입구에서 시작된 행렬은 금남로 전일빌딩까지 이어졌다. 행렬의 선두에 선 풍물패가 추모의 열기를 더했다. 행진에 참여한 시민들은 완전한 진상규명과 관련자 처벌, 5.18 헌법 전문 수록 등을 외쳤다.

 

금남로에 마련된 ‘광주트라우마센터’ 부스에 붙은 시민들의 메시지이다.

[시민 인터뷰] 미래 세대에게 광주는, 민주 시민 자긍심으로 계승해야

민주평화대행진에 참여한 시민들에게 광주 민주화운동이 가지는 의미를 물었다. 이날 행진에 참여한 광주광역시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 소속 시민 A 씨, 전남대학교 민주동우회 소속 시민 B 씨, 개인 자격으로 참여한 시민운동가 C 씨를 인터뷰했다.

 

Q. 광주 민주화운동을 직접 겪으셨는지, 광주는 당신께 어떤 의미인가요?

시민 A 씨: 당시 너무 어려 기억은 잘 나지 않고, 나중에 간접적으로 배운 세대다. 광주시민으로서, 그리고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자랑스럽게 생각할 수 있는 역사다. 정의롭지 않은 것에 유혹받았을 때 흔들리지 않고 올바르게 설 수 있는 가치관을 주는 것 같다.

시민 B 씨: 직접 겪지는 않았지만, 광주에서 대학 시절을 보내며 그 가치를 배웠다. 자기 몸을 희생해가면서 민주주의를 지켜냈다는 사실이 얼마나 숭고한 가치가 있는지 느끼게 되었다. 대한민국 민주주의 역사에서, 나아가 근현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변곡점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시민 C 씨: 당시 초등학교 5학년으로, 함평에 살았는데 청년들이 피켓 들고, 버스 타고, 노래를 부르면서 다니던 것이 기억난다. 동네 어르신들이 청년들 잡아가니까 숨으라고 했던, 그런 일이 일어난 정도로만 알고 있었다. 그러다 광주에서 고등학교에 다니며, 민주화운동 당시의 모습을 담은 비디오를 보게 됐다. 터미널, 금남로 등 일상적인 공간에서 시민에게 너무나 잔인한 일이 일어났다는 사실이 충격적이고 무서웠다.

 

5월 17일, 전야제를 앞두고 있는 금남로의 모습이다.

Q. 광주 민주화운동에 있어서, 앞으로의 과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시민 A 씨: 여전히 5.18을 왜곡된 시선으로 바라보는 사람이 일부 있다. 소수의 의견일지라도, 자라나는 청소년에게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잘못된 시선을 바로잡기 위해 정확한 진상규명이 가장 먼저 필요하다. 5.18정신 헌법 전문 수록도 빨리 이뤄졌으면 한다.

시민 B 씨: 당시 민주화운동이나 진상규명에 참여한 분 중 국가보안법 등으로 인해 무고한 피해를 받은 경우가 있다. 이런 피해를 구제하는 것이 지금 시점에서 시급하다.

시민 C 씨: 국민의 인식 부재를 해결해야 한다. 광주, 전남 외 지역 시민들이나 기성세대는 아직도 민주화운동 당시 어떤 일이 있었는지 정확히 아는 사람이 드물다.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 모두에게 진실된 정보가 전달돼야 한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Q. 광주 민주화운동이 미래 세대에 어떤 의미로 전달되었으면 하나요?
시민 A 씨: 민주시민으로서의 자긍심, 자부심이자 정의로운 삶의 동기가 되었으면 한다.

시민 B 씨: 형식적 민주주의가 자리 잡았지만 성평등, 노동 평등 같은 문제들이 여전히 남아 있다. 이런 문제를 안식하고 해결하는 것이 미래 세대의 과제라고 생각한다.

시민 C 씨: 미래 세대가 살아갈 세상에서 아픈 역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판단의 올바른 기준이 돼야 한다. 역사를 바르게 전달하려는 현세대의 노력이 중요하다.

 

(*) 행사에서 제창(齊唱)은 합창(合唱)보다 참석자의 의무감이 더해진다는 점에서, 일부 보수 단체의 반발로 정치적 논란이 일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