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산단 지하수 속 발암물질… GIST는 안전한가?

0
6

광주광역시 하남산단의 지하수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1급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광주 광산구 장덕동과 하남동 인근에 있는 하남산단은 1073개 업체가 입주한 산업 단지로, GIST와는 약 5km 떨어져 있다.

하남산단 지하수 발암물질 검출

지난 7월 15일 박병구 광산구청장은 “2023년 하남산단 지하수 토양오염 용역조사 결과가 나왔음에도 대응이 미비했으며 이 사실을 알리는 데에도 소홀했다”라며 하남산단의 노동자와 인근 시민에 고개 숙여 사과했다. 박 청장은 산단과 인근 주거지 내 171개소의 수질을 측정한 결과 TCE(트리클로로에틸렌)는 48개 지점, PCE(테트라클로로에틸렌)는 31개 지점에서 기준치를 초과했다고 밝혔다. 두 물질은 유엔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사람에게 암을 일으킬 수 있는 유력한 물질로 분류한 대표적인 지하수 오염 물질이다. 실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수질 문제인 만큼 인근 주민들과 산단 노동자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시정질문에서 드러난 책임 공방

7월 15일 제334회 본회의에서는 하남산단 지하수 오염과 관련한 시정 질문이 이뤄졌다. 이날 회의에 참여한 더불어민주당 박수기 의원은 강기정 광주광역시 시장에 하남산단 지하수에서 PCE, TCE가 각각 최대 284배, 466배 초과했으며 인근 주거지역인 수완지구 경계부에도 오염이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서고동저 지형으로 인해 오염된 지하수가 주거지역과 풍영정천으로 흐르는 유동 패턴을 보인다며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박 의원은 과거 지하수 관리 계획 과정에서 이미 오염 사실이 드러났음에도 적절히 대응하지 않았다는 점을 꼬집었다. 그는 2017년 광주광역시 지하수 관리 계획 이행 도중 광산구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오염도가 발견되자 광산구청은 용역조사를 발주했으며, 광주시가 최소 세 차례에 걸쳐 해당 용역조사의 지하수 오염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강조했다. 강 시장은 박 의원의 책임 소지 질문에 광산구로부터 정식 공문을 받지 못했으며, 광주시는 예산을 지출했을 뿐 실질적 권한은 광산구에 있다고 답했다. 광주시의 책임을 떠넘기는 태도에 박 의원은 10억 규모의 용역조사에 관한 공문을 받지 못했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박 의원은 “지방 정부의 권한과 책임은 법령이나 규정을 따지는 데에 있지 않다”라며 신속한 지하수 실태 조사 즉각적인 행정조치를 촉구했다.

한편 광산구 역시 조사 결과를 알고 있었음에도 주민들에게 그 사실을 적극적으로 알리거나 지하수 사용을 중지하지 않고 2년 동안 방임한 사실에 대한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GIST는 안전한가?

광산구는 2023년 용역조사와는 별개로 지난달부터 하남산단과 인근 주거지의 지하수 174곳의 수질 검사를 마친 결과 16곳에서 기준치 초과 발암물질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16곳은 모두 하남산단 내에서 사용하는 지하수이며, 주거지의 지하수 관정은 수질이 적합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GIST는 이번 지하수 오염 사건과는 별개로 정기 점검 차원에서 지하수 수질 검사를 실시했다. GIST 시설운영팀 관계자는 “본교에서 사용하는 지하수는 수경시설(대연못 등) 담수 용도로만 활용되고 있다. 또한 지난 7월 9일 접수해 17일 완료된 수질 검사에서 적합하다는 판정을 받았다.”라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정기적인 수질 검사를 통해 안전성을 확인하겠다고 덧붙였다.

현재 광주시와 광산구, 북구에서는 하남산단 지하수 토양 오염방지 대책 TF팀이 구성돼 대응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 간의 책임 공방으로 시민들의 불안감은 더욱 커졌고,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신뢰도 잃었다. 광주시는 지금부터라도 시민들을 위해 투명하고 책임 있는 지방 행정을 보여 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