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T-X, 우주를 꿈꾸다

0
지난 6월 10일 KARI(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주최한 ‘2022 큐브위성 경연대회’에서 GIST 위성 개발팀인 GIST-X가 2차 경연에 진출했으나 아쉽게 탈락했다. GIST-X의 위성 ‘에렌델’은 누리호 제4차 발사 때 탑재되어 감마선 폭발을 관찰하고 광도 곡선을 분석하는 임무 수행을 목표로 개발됐다. 위성 연구의 불모지인 GIST에서도, 학생들은 KARI와 GIST의 지원을 받으며 프로젝트를 이어갔다.   GIST X의 첫 위성,...
전지원 인포팀장 “학교의 정체성을 부여하는 커뮤니티가 되길” 지스트대학 온라인 커뮤니티 ‘지스토리’가 사용자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편될 예정이다. 지스토리 개편은 지스트대학 학생회 소속 ‘인포팀(Infoteam)’이 맡고 있다. 인포팀은 학내 학생들을 위한 정보서비스의 개발, 제공, 관리 등을 담당한다. 인포팀이 지난 2월 12일 페이스북 비공개 그룹 ‘지스트 대학생’에 게시한 글에 따르면, 개편 이후의...
  지난 11월 11일, 오룡관에서 GIST 학생창업서포터즈(이하 GGE, Growing Gist Entrepreneurship) 주관하에 2022년 GIST 스타트업나이트가 개최됐다. 본 행사는 KAIST, UNIST 소속 창업동아리와 이공계 특성화대학 창업 네트워크(이하 FIST)도 함께했다. GIST 스타트업나이트는 ▲교내/외 창업프로그램 소개 ▲아이디어톤 ▲부스 세션 ▲창업 퀴즈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GGE는 교내외 창업지원 기관 및 창업프로그램을 소개했다. 이어서 진행된 아이디어톤...
지난 9월 제2학생회관 학생식당 학식 가격을 기존 4800원에서 5500원으로 인상했다. 식당 운영업체 측은 가격 인상 이유에 물가와 인건비 상승을 근거로 들었다.   학식 가격 인상, 이용자 여론은? 학식 가격 인상 후 4개월가량 지났다. 이에 <지스트신문>은 대학생, 대학원생 385명을 대상으로 학식 가격 인상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 결과 식비 인상 후 식사 질...
대외협력국 주최 오소희 작가의 여행 특강 열려 <사진 = 오소희 작가가 대학C동 '여행은 어떻게 인생을 바꾸는가?’라는 주제로 강의하고 있다.> 지난 5월 29일 오후 3시 30분 대학 C동 104호에서 오소희 여행 작가의 특별 강연이 열렸다. 대외협력국의 주최로 열린 이 강연에는 70여 명의 학생들이 참석했으며, 오소희 작가는 ‘여행은 어떻게 인생을...
공백기를 거쳐 GIST에 새로운 총장이 온 지도 한 달이 지났다. <지스트신문>은 임기철 신임 총장을 만나 현재 GIST가 당면한 과제와 미래 성장동력에 대해 질문했다. 임 신임 총장은 산학 협력, 기업가 정신을 강조하며 미래 30년 혁신 전략을 설명했다. 총장으로 선임된 소회와 포부가 궁금하다. 지난 10년은 내부 교수가 총장을 역임했는데, ‘일부에서는 제가 외부에서 왔다고...
현재 논의되고 있는 인상안은 총 세가지로, 3년 내 최대 100%까지 인상되는 제1안(당초 A안과 동일), 5년 내 최대 182%까지 인상되는 제2안, 5년 내 최대 100%까지 인상되는 제3안이다. 인상안 결정 초기 단계에서 제시되었던 초기 A, B, C안 중 A안으로 추진이 결정된 이후, 11월 9일 학생대표조직에서는 A안(현재 제1안)의 인상폭이 너무 가파르다는 의견을 전했고,...
GIST대학 학부생이 개발한 앱 ‘배달긱’이 3월부터 서울대학교에 서비스를 시작한다. 배달긱은 서울대 진출 이후 서울 전역으로 서비스를 확장하며 전국으로 나아갈 계획이다. 이에 배달긱은 대규모 확장에 앞서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하기 위해 리브랜딩 및 앱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있다. 배달긱은 서울대에서 GIST에서보다 훨씬 큰 규모로 런칭할 계획이다. 우선 3월 중에 서울대 관악학생생활관 총 25개...
사업서 선정 탈락한 GIST 위상이 떨어졌다는 우려도 BK21의 성격 고려한다면 심각하다고 보기 어려워 미래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4단계 두뇌한국21(Brain Korea 21, BK21) 사업의 예비 선정 결과가 지난 8월 6일 발표됐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전국 68개 대학, 총 562개 교육연구단(팀)을 선정하였는데, GIST가 이에 포함되지 않아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BK21 사업의 특성을 고려했을...
GIST는 2022년 7월 15일부터 평균평점(GPA·Grade Point Average) 산정 기준을 개정·시행했다. 하지만 이후 서울 상위권 대학에서 GPA 환산식이 잇달아 재개정됐고, GIST에서도 재개정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스트신문>은 GPA 환산식 재개정 가능성, 유불리 논란의 원인 및 향후 대책을 취재했다.   대학마다 다른 GPA 환산기준 최근 대학가에서 GPA 환산식 개정을 위한 움직임이 연이어 나타나고 있다....

만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