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총학생회장단과 하우스장 선거는 보안 및 공지, 절차 등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GIST대학 총학생회장단 선거관리위원회(이하 중앙선관위)는 지난 11월 21일 총학생회장단 후보자모집 공고를 게시했다. 강대연(물리,19) 학생과 임승균(전컴,19) 학생이 각각 총학생회장, 부총학생회장 후보자로 단일 출마했다. 지난 11월 25일 후보자 등록이 마감됐으며, 12월 3일에 후보자 1차 연설 및 정책토론회가...
<지스트신문>은 KAIST, UNIST의 외국인 학생 인프라를 GIST와 비교했다. GIST의 외국인 학생 인프라는 KAIST, UNIST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다. 생활 부문은 크게 ▲외국인 안내 매뉴얼 유무 ▲식당 영문 안내 ▲생활관 영문 안내 ▲할랄 식당 유무 ▲외국인 안내 기관 유무 5가지로 나눠 취재했다. 전체적으로 GIST의 기반 시설은 모든 부문에서 타 과기원에 비해 부족한...
내년부터 행정 조직‧교육 단위 개편된다 대학·대학원 일원화 정책(이하 일원화 정책)이 내년 3월 시행을 목표로 준비중이다. 일원화 정책은 크게 행정 개편과 교육단위 개편으로 나뉜다. 일원화 정책의 추진 배경은 GIST대학과 대학원이 이원화돼 나타나는 행정상의 비효율성과 전공교육 활성화의 한계다. 지금까지 학사과정은 GIST대학에서, 석‧박사과정 등 나머지 과정은 대학원 각 학부에서 운영했다. 일원화 정책이 시행되면 GIST대학과 대학원이...
타 학부 공동지도교수 불가 원칙… 예외 규정으로 승인은 가능 2020년도 겨울학기부터 기계공학전공(이하 기계전공) 학부생은 학사논문연구(이하 학논연) 수행 시 타 학부(과) 공동지도교수 선정이 원칙적으로 불가능하다. 다만 불가피한 경우 기계공학부 교과과정운영위원회의 승인에 따라 예외를 둘 수 있다. 해당 정책은 대학․대학원 일원화 정책에 따른 기계공학부의 후속 조치다. 기계공학부는 이 정책의 목적이 교육의 내실화와 학생의 안정적...
지난 9월 26일 GIST대학 총동문회 준비위원회(이하 준비회)의 주도로 ‘지캔두 두 번째 이야기:취업편’이 열렸다. 이번 ‘지캔두 두 번째 이야기:취업편’ 행사에서는 취업한 GIST 학부·대학원 졸업생이 취업을 어떻게 준비했는지 소개했다. 행사는 ▲전자·생명과학, ▲정보통신, ▲금융·변리사·컨설팅 부문으로 나뉘었으며,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카카오, LG CNS 등 다양한 회사에 취업한 졸업생이 진행했다. 각 부문 연사가 자기소개서 준비, 면접...
포닥 주도적 연구 기회 주어지나 GIST Young Scientist 시범사업(이하 GYS) 추가모집 신청이 종료됐다. GYS를 통해 신진 박사(이하 포닥)의 주도적 연구개발 경험 제공 및 기업과의 협력 연구를 통한 GIST와 기업 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기대할 수 있다. GYS 추진 배경은 GYS의 추진 목적은 포닥의 주도적 연구개발 참여 경험 제공과 산학협력 연구수행이다. 본...
대면 강의 기준 완화 검토 확진자 14일간 국제동 격리 마스크 미착용자 징계할 것 지난 1일, 코로나19 범유행이 발생한 지 10개월에 접어들었다. 광주광역시(이하 광주시)가 12일 사회적 거리두기를 1단계로 완화한 지금, GIST 주요 정책을 점검한다. GIST는 총장 주재 CV비상대책위원회를 조직해 관련 사항을 의논하고 있다. 원내 코로나19 방역지침과 학사 운영 등 중요사항은 교학부총장 주재 CV비상대책실무위원회에서 결정하며 ...
사업서 선정 탈락한 GIST 위상이 떨어졌다는 우려도 BK21의 성격 고려한다면 심각하다고 보기 어려워 미래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4단계 두뇌한국21(Brain Korea 21, BK21) 사업의 예비 선정 결과가 지난 8월 6일 발표됐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전국 68개 대학, 총 562개 교육연구단(팀)을 선정하였는데, GIST가 이에 포함되지 않아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BK21 사업의 특성을 고려했을...
GIST 교학부총장 산하 교육혁신센터(센터장 김희삼)가 지난 7월 신설됐다. 앞으로 이곳에서 STAR-MOOC 서비스와 같은 온라인 강의와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학습관리시스템) 운영 및 개선을 담당하게 된다. 특히 GIST 교육의 질을 끌어올리고자 기존에 존재하지 않던 교육 시스템을 기획하는 역할을 맡는다. 교육혁신센터에서는 기존의 온라인 강의인 MOOC 강좌의 질적 개선을 위한 역할을 맡는다. 현재 MOOC...
교육과 삶의 질 위해 빠른 정상화 필요 서울·경기 지역으로부터 재확산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이하 코로나19)의 여파로 2학기도 전면 온라인 강의 원칙을 유지한다. 이에 지난 학기 시행한 온라인 강의에서 겪은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얼마나 발전된 교육을 제공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 됐다. 교학처에서는 교육방향 개선을 위해 지난 6월 10일 온라인 교육 2차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학부생 351명을...

만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