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왜 GIST대학을 선택했습니까?” 이 질문에 대해 우리는 U.C.Berkeley 계절학기 기회, 우수한 연구실적 혹은 저렴한 학비 등 다양한 답변을 기대할 수 있다. 필자의 답변, GIST대학을 선택한 이유는 GIST대학의 교육철학과 특징이었다. 하지만 4년이 지난 지금, GIST대학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서 다소 회의를 갖는다.
최소 5년 이상 중·고등학교에서 우리는 주로 교수자 중심의 강의를...
학교가 작아서인지 학생들 사이에서는 이런저런 소문이 많이 돈다. 모 군 모 양의 사랑 이야기부터 학교 커리큘럼의 실체까지, 주제는 다양하다. 가십은 흘려들으면 되지만 진로 고민과 관련된 소문은 골치가 아프다. 이 선배는 모 전공의 커리큘럼이 엉망이라 하고, 저 선배는 다른 학교와 다를 바 없다고 한다. 어떤 소문들은 너무 오래돼 지금은 유효하지...
며칠 전에 접한 갑작스러운 뉴스, 이공계 병역특례를 단계적으로 폐지하려 한다는 국방부의 검토 내용을 앵커가 전한다. 이건 무슨 소리? 사회적 반응을 한번 보려고 국방부에서 언론에 흘렸나 보다 하고 생각했는데, 다음날 학교에 와보니 당장 학생들의 동요가 매우 크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저성장 시대. 2010년대 들어서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3%대로 접어들었고, 올해는 2%대의...
전업주부로 살아오신 엄마가 어느새 배우고 싶은 것들이 생겨나고 도전하고 싶은 일들이 생긴다는 것은 나에겐 큰 기쁨이었다. 항상 엄마의 도전을 응원해주고 싶은 마음이 컸다. 집안일 외의 다른 것들에 대해 생각할 때가 온 엄마가 집안일을 걱정하는 게 보여 그저 걱정 말라고 한마디를 건넸다. 무슨 자신감으로 내뱉은 말인지 잘 모르겠다.
교육을 받으시느라 바빠지신...
최근 몇 년 사이 ChatGPT를 비롯한 여러 생성형 AI가 우리들의 일상에 스며들었다. 단순히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을 넘어 생성형 AI는 글, 이미지 등의 창작까지 더 넓은 범위에서 영향을 떨치고 있다. 예를 들어, 실험 결과만 입력해도 그에 맞는 실험 보고서를 AI가 생성하는 수준까지 이르렀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항상 강조되어 오던 글쓰기...
혼조 다스쿠 일본 교토대 교수가 노벨생리의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되면서 일본은 과학 분야에서만 20번째 노벨상 수상자를 냈다. 일본이 ‘과학 강국’이라는 사실이 다시 한번 증명된 셈이다. 과학 분야에서 단 한 번도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지 못한 우리나라로서는 일본이 부러울 수밖에 없다.
사실 한국은 제대로 된 연구를 시작한 지 겨우 몇십...
지난 5월 9일 막을 내린 문재인 정부는 노동개혁과 연금개혁을 외면했지만, 독일은 용기있는 개혁으로 위기를 골파한 대표적 성공 사례다. 1990년 통일 이후 독일은 ‘통일 특수’를 누렸다. 그러나 1992년부터 통일 특수가 줄어들고 막대한 통일 비용으로 경기가 침체하면서 1993년에는 경제 성장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피폐한 동독 지역 재건을 위한 인프라 투자에 따른 재정적자, 사회보험...

















![[만평]그네타기](https://i0.wp.com/gistnews.co.kr/wp-content/uploads/2016/11/11123.png?resize=534%2C462&ssl=1)

![[4컷만화] 여러분들에게 1년은 어떤 시간인가요?](https://i0.wp.com/gistnews.co.kr/wp-content/uploads/2015/04/cfile9.uf_.2661A53B552F60C6042568.jpg_cr.png?resize=534%2C462&ssl=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