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초부터 의사와 정부가 갈등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여러 의사 단체가 보건 당국이 추진하는 의대 정원 확대, 국립공공보건의료대학(이하 공공의대) 설립, 한방 첩약 급여화 등에 대해 반발하고 있다. 8월 7일부터 인턴, 레지던트 등 전공의들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의 주도로 연가를 사용하는 등의 방식으로 파업을 시작했다. 정부의 보건 정책에 반대하며 24시간 집단휴진에 나선 것이다. 대한의사협회(이하...
지난달 7일부터 9일까지 누적 강수량 최고 500mm에 달하는 남부지방의 집중호우로 인해 섬진강과 영산강 수계 범람으로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 9일 전남도가 공개한 피해 상황에 따르면 인명피해는 9명 사망, 1명 실종이며 2천774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4대강 사업의 타당성을 놓고 설전이 벌어졌다. 야권을 중심으로 치수 사업에 포함되지 않았던 섬진강 유역이 폭우로...
택배 노동자의 과로사와 전국택배연대노동조합(이하 택배노조)의 지속적 요구로 8월 14일이 택배 휴가 의 날로 지정됐다. 택배 노동자 처우 개선의 발화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폭염, 폭우, 코로나19로 인한 물량 폭증 등 많은 악재에도 택배 배송은 차질없이 진행됐다. 이로 인해 코로나19 발발 이후 몇 개월간 택배 노동자의 과로사가 6건 발생했다. 이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Go・송주>는 고송주 기자가 직접 현장에 나가 사회의 이야기를 듣는 기획입니다. 현재 많은 학생이 홍콩의 민주화를 지지하고 있지만, 조금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심도 있게 분석하기 위해, <지스트신문>은 현재까지의 상황을 정리하고, 홍콩 지지 시위에 참여한 박혜신 씨와 홍콩대 재학 중인 김준성 씨를 만나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지난 6월부터 홍콩에서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가...
도로공사 대 비정규직 수납원, 자회사 놓고 정면충돌 5월부터 요금수납원과 정부가 갈등하는 이른바 톨게이트 사태가 계속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 들어 도로공사가 요금수납 업무를 담당하는 자회사 설립을 추진하면서 시작된 갈등이다. 이번 문제는 문재인 정부의 두 가지 정책이 부딪히며 발생했다. 첫 번째는 스마트톨링(무인화)이다. 이 정책을 시행할 경우 인력이 적게 필요해 수납원들을 해고해야 한다. 두 번째는...
과학언론이슈토론회 개최… 커지는 제도개선 목소리 2016년 축소 논란 이후 3년 넘게 지속됐던 전문연 문제가 다시 불거졌다. 7월 9일 국방부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이공계 전문연구요원(이하 전문연) 정원을 대폭 감축하기로 발표해 전문연 축소 논란에 불이 붙은 것이다. 전문연 제도는 병역자원 일부를 필요 인원 충원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이공계 학생을 3년간 연구인력으로 활용하는 병역대체복무제도다. 현...
광주시·정부 “노사상생을 통해 지역 일자리 늘리는 모델 될 것” 현대·기아차노조 “사회 양극화 확대시키고 소득 불평등 조장할 것” ‘광주형 일자리’ 협상이 극적 타결됐다. 광주시와 현대자동차가 1월 31일 완성차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투자협약을 맺은 것이다. 광주형 일자리 모델은 기업이 노동자를 낮은 임금으로 고용하는 대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주거, 교통, 의료 등의 복지를 노동자에게 지원하는...
지난 2월 11일부터 KT 등 7개의 인터넷서비스제공사업자(ISP)가 ‘서버 네임 인디케이션(이하 SNI) 필드 차단’ 방식을 적용하면서 불법 사이트 접속이 차단됐다. 이로 인해 800여 곳의 해외에 거점을 둔 음란물 사이트, 불법 만화 사이트, 도박 사이트 등에 접속할 수 없는 상태다. 이전까지의 사이트 접속 차단은 크게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차단과 DNS(Domain Name System)...
  지난 11월 1일, 대법원은 양심적 병역거부가 형사처벌 대상이 아니다고 판결했다. 2004년부터 취해왔던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한 입장을 14년 3개월 만에 바꾼 것이다. 이로써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은 1년 6개월의 실형 대신 대체복무로 국방의 의무를 대신한다. 십수 년 만에 뒤집힌 판결인 만큼,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한 사회적 논란도 거세다. <지스트신문>은 GIST 학생, 교수 등 원내...
미투 파문으로 곤혹을 치른 스웨덴 한림원이 올해 노벨상 수상자를 선정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노벨 문학상 선정기관인 스웨덴 한림원은 지난 5월 3일 성명을 통해 “올가을 예정된 노벨 문학상 수상자 발표는 취소됐다. 대신 2019년에 수상자를 2명 뽑겠다”고 밝혔다. 이는 한림원의 종신위원 집단 사퇴로 인해 수상자 선정에 필요한 정족수를 채우지 못했기 때문이다. 사건의 발단은...

만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