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더운 기운이 돌았던 초가을에 시작했던 수습기자 생활을 나뭇잎이 다 떨어지는 겨울에 마무리했다. 서로 어색했던 동료 기자들과 어느새 다 같이 웃으며 즐기는 사이가 됐고, 그동안 내가 배웠던 것들은 다른 어떤 과목에서도 배울 수 없었던 것이었다. 실제로 경험해보지 않으면 배우지 못하는 값진 지혜와 교훈이 만든 이론이었다.
...
인류 최초의 실험심리학자, 프삼티크 1세
음악의 아버지가 J.S. 바흐이듯이, ‘심리학의 아버지가 누구일까?’ 라는 질문에 많은 사람들은 ‘프로이트’라는 답을 떠올릴는지 모르겠다. 혹시 인마행1을 수강한 GIST 학부생이라면 ‘빌헬름 분트’나 ‘윌리엄 제임스’라는 이름을 떠올리며 ‘수업 들은 보람이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심리학은 비교적 역사가 짧은 학문이다. 일반적으로 19세기 중반이나 후반에 과학적 심리학이 시작되었다고 많은...
또래상담자의 「토닥토닥」
● 여름님의 사례
같은 모임에서 처음 A를 만났어요. 처음에는 A는 신기할 정도로 나와 잘 맞는 친구였어요. 그렇게 서로의 삶에 깊숙이 들어오게 되었지요. 그러나 지내다보니 알게 된 A의 질투심과 변덕스러움은 제가 감당하기 힘들 정도였고, 이 관계를 어떻게 해야 할지 도저히 모르겠어요. 이미 저와 A는 너무 많은 부분에서 엮여 있어요. 같은...
2023년 4월 28일, 50번째 헌혈을 마치고 금장을 받았다. 7년 동안 헌혈의 집과 헌혈 버스를 들락거리며 여러 일이 있었는데, 그중 가장 기억에 남는 건 2019년 10월쯤 헌혈의 집에서 혈소판 헌혈을 하면서 간호사님께 들은 말이다.
“요즘 B형 혈소판이 부족합니다. 가능하면 혈소판 헌혈에 자주 참여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내가 방문한 날이 혈소판이 유독 부족한 시기였는지,...
<지스트신문사> 창간호가 나온 지 어언 한 달이 지났다. 기자단의 노력뿐만 아니라 학내 구성원들의 관심과 성원이 깃든 결실이라 생각한다. 배부대의 신문이 줄어갈수록 나는 두 가지 생각이 든다. 하나는 독자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지스트신문사>의 앞날에 대한 걱정이다.
영국의 존 밀턴(J. Milton)은 자신의 저서 <이혼의 교의와 질서>가 의회의 검열과 등록을 거치지...












![[만평] 연구비 줄게, 서명해](https://i0.wp.com/gistnews.co.kr/wp-content/uploads/2017/11/만평1.jpg?resize=534%2C462&ssl=1)

![[만평] R&D 예산 삭감](https://i0.wp.com/gistnews.co.kr/wp-content/uploads/2024/04/예산_삭감.png?resize=534%2C462&ssl=1)
![[만평] 근로자 처우 개선](https://i0.wp.com/gistnews.co.kr/wp-content/uploads/2025/08/EBA78CED8F89_64ED98B8-1.png?resize=534%2C462&ssl=1)
![[만평] 조국만 보도하는 언론](https://i0.wp.com/gistnews.co.kr/wp-content/uploads/2019/09/조국밖에없니.png?resize=534%2C462&ssl=1)
![[만평] 청소년 보호법](https://i0.wp.com/gistnews.co.kr/wp-content/uploads/2018/12/KakaoTalk_20181203_001222356.png?resize=534%2C462&ssl=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