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보를 읽는 사람이 없다. 학보사에 활동하는 기자는 점점 줄어든다. 학교의 간섭으로 원하는 기사를 낼 수도 없다. 인력난 때문에 수준 낮은 기사로 지면을 채우게 된다. 더욱더 독자들의 외면을 받는다. 현재 우리나라 여러 대학 학보사들이 맞닥뜨린 상황이다” 작년4월 11일 <지스트신문> 창간 당시 ‘대학언론, 내일을 꿈꿀 수 있을까?’라는 기사의 첫 문단이다. 같은...
일시: 2020년 8월 4일 13:00~15:00
* 코로나19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회의는 비대면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참석자
독자자문위원: 양민준, 오소진, 이호수, 전준렬, 홍주영, 황소정
기자단: 고송주(편집장), 곽재원(부편집장), 강대연(취재부 책임기자), 김하연(디자인부 책임기자), 배설영(취재부 정기자), 이헌효(디자인부 정기자)
1. 신문 활자, 판형, 디자인 비평
1) 판형: 현재 <지스트신문>은 1면이 가로 270mm, 세로 390mm입니다. 종이는 갱지가 아니라 아이보리색 계열의 종이를 사용합니다. 현재...
기사작성의 부담에서 벗어나 2년 반 신문사 생활을 올해 1학기로 마무리 지었다. 그러자 오히려 기자가 지녀야 할 객관적인 자세로 <지스트신문>을 마주할 수 있었다. 학생 기자들이 수고해서 만들었다는 대견함도 있었지만 ‘더 잘할 수 있었을 텐데’라고 생각되는 아쉬움이 더 많았다.
먼저 ‘독자들이 궁금해하는 것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고 느꼈다. 창간 1주년 기획 ‘독자들이 바라보는...
7월부터 두 달 동안 시각장애인 학생의 영어 멘토링을 했다. 전맹이 아닌 저시력 학생이어서 수업 진행에 큰 문제는 없었지만 친구에게 상처가 되는 말을 하지 않을까 조심해야 했다. 화면을 공유하면서 “잘 보여요?” 대신 “잘 공유되고 있나요?”라고 물어봤다.
원래 타인이 기분 상하지 않게 조심하고 또 실수하면 사과하는 것이 인지상정이다. 그러나 최근 실수를 지적한...
“저게 뭔지 하나도 모르겠다.”
비엔날레 전시장에 들어오자 여기저기서 관객들의 볼멘소리가 들려온다. 전시장에는 예술작품이 덩그러니 놓여있고, 예술작품을 설명하는 팻말에는 작품의 이름과 작품을 창작한 예술가의 이름만 적혀있다. 대부분 작품을 보았을 때, 예술가가 어떤 메시지를 예술품에 담았는지 알 수 없었다. 예술의 세계에 문외한인 대다수는 당황했으리라. 특히, 장외전시 중인 ‘당신이 밖을 볼 때까지 벗기고...
우연히 유튜브 알고리즘이 추천해준 ‘가짜사나이2 ep.0’을 보게 됐다. 일종의 ‘신드롬’까지 일으킨 가짜사나이를 본 적이 없기에 호기심에 클릭했지만, 남은 것은 한 가지 의문뿐이었다. “도대체 왜 이 콘텐츠가 한국을 휩쓸고 있는가?” 진흙탕에 구르면서 몸도 제대로 가누지 못하며 고통받는 교육생들이 교관들의 무의미한 명령에 복종하는 것을 보면서 나는 콘텐츠를 소비할 이유를 느끼지 못했다....
대학에 입학하고 흘러가는 대로 살다 보니 어느새 3학년이 됐다. 점점 고학번이 돼가며 지난 대학 생활에 대해 아쉬움이 계속 들곤 했는데, 학업 외에 다양한 활동을 많이 해보지 못한 점이 가장 부족하게 느껴졌다.
그러던 중 친구를 통해 월드프렌즈 ICT 봉사단을 알게 됐다. 한국어 수업과 IT 수업을 진행하며 머나먼 타국에서 낯선 사람들과 새로운...
지난 한 달 동안 경남지역에 지진이 지속해서 일어나고, 그곳에 있는 원전의 안전성이 끊임없이 도마 위에 올랐다. 기후변화에 대한 한 보고서가 떠오르는 시기이다. “본 연구팀은 갑작스럽고 비가역적인 변화를 촉발하기 충분한 기후변화의 정확한 수준이 무엇인지 아직 확실히 알 수 없지만,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임계점(threshold)을 넘어서는 위험은 증가한다고 중간신뢰도로 평가한다” 기후변화에 관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을 지나며 MZ 세대 사이에서는 ‘비대면 스터디’가 새롭게 떠올랐다. 오프라인 학습 인프라를 활용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MZ 세대가 디지털 환경에서 새로운 열쇠를 발견한 것이다. 비대면 스터디는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을 활용하여 다른 사람들과 함께 공부하는 새로운 형태의 공부 방법이다. 대표적인 비대면 스터디 서비스 ‘구루미 캠 스터디’ 는 하루 평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