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29일 기획재정부는 24조 1000억 원 규모의 23개 공공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하겠다고 발표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성장 격차가 확대되는 사실을 인지하고 지역발전에 필요한 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해 국가균형발전을 이루겠다는 취지다. *정부의 재정이 대규모로 투입되는 사업의 정책적, 경제적 타당성을 사전에 면밀하게 검증하는 제도이다.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은 국가재정법상 총사업비가...
올해 <지스트신문>은 디지털콘텐츠부(이하 디콘부)를 전면 개편했다. 디콘부는 전자메일 구독 서비스와 인스타그램을 통해 <지스트신문>의 지면신문을 홍보하고, 접근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존 <지스트신문>의 접근성문제 작년 9월 <지스트신문>에서 진행한 ‘지스트신문 인지도 조사’에서 <지스트신문>이 개선해야할 점으로 “SNS, 이메일 등을 활용해 정보화시대에 발맞춘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설문조사 결과 <지스트신문>을 읽어본 적 없다고 답한...
지난 1월 25일부터 2월 15일까지 신입생 간 교육 격차를 줄이려는 목적으로 Pre-AP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Pre-AP, 일명 ‘AP 브릿지’ 프로그램은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이하 과기특성화대) 입학 예정인 학생 대상으로 올해 도입됐다. 이 프로그램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으로 운영되며, 과학영재양성사업 중 온라인 AP 사업과 관련해 KAIST 과학영재교육원에서 과기특성화대 교수진과 협력해 개발한 것이다. 시범 대상 학교는...
  지난 5월 10일부터 12일, GIST AI 대학원 건물에서 광주·전남권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4 Hello World 해커톤>이 개최됐다. GIST 교내 개발 커뮤니티 동아리 ‘GIST Creative Crafters’(이하 GCC)가 주관한 행사에 모인 참가자들은 함께 사회 문제의 해결을 위한 SW 서비스를 만들어 냈다. <지스트신문>은 GCC 김세빈(물리,19) 동아리장을 만나 2024 Hello World 해커톤의 개최 배경과 진행...
2017학년도 대학원 학부대표자회(이하 대학원대표자회)는 학생연구원 근로자계약 관련 면담, 원체육대회 개최 등 다양한 업무를 진행했다. 대학원대표자회는 학생자치단체로서 GIST 대학원생의 의견을 대표하는 조직으로, 대학원 9개 학부의 대표 및 부대표가 참여하여 총 18명으로 구성된다. 황형용(전기,박사과정) 학생과 오왕석(신소재,석박통합) 학생이 각각 2017학년도 대표와 부대표를 맡았다. 학생연구원 근로자 계약 “실질적 혜택 가능할지 의문” 대학원대표자회는 지난 8월 대학기획처장과의 면담...
전지원 인포팀장 “학교의 정체성을 부여하는 커뮤니티가 되길” 지스트대학 온라인 커뮤니티 ‘지스토리’가 사용자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편될 예정이다. 지스토리 개편은 지스트대학 학생회 소속 ‘인포팀(Infoteam)’이 맡고 있다. 인포팀은 학내 학생들을 위한 정보서비스의 개발, 제공, 관리 등을 담당한다. 인포팀이 지난 2월 12일 페이스북 비공개 그룹 ‘지스트 대학생’에 게시한 글에 따르면, 개편 이후의...
대학 굿즈는 각 학교 홍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스트신문>은 GIST 굿즈의 홍보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대상은 GIST 학부생 및 대학원생이다. 응답자는 총 351명이며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4.80%p다. 설문 결과, GIST 굿즈의 상품성과 홍보 효과가 낮게 평가됐다. GIST 굿즈의 발전을 위해 디자인과 품질 개선을 요하는 목소리가 많았다. 인지도는...
포닥 주도적 연구 기회 주어지나 GIST Young Scientist 시범사업(이하 GYS) 추가모집 신청이 종료됐다. GYS를 통해 신진 박사(이하 포닥)의 주도적 연구개발 경험 제공 및 기업과의 협력 연구를 통한 GIST와 기업 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기대할 수 있다. GYS 추진 배경은 GYS의 추진 목적은 포닥의 주도적 연구개발 참여 경험 제공과 산학협력 연구수행이다. 본...
사업서 선정 탈락한 GIST 위상이 떨어졌다는 우려도 BK21의 성격 고려한다면 심각하다고 보기 어려워 미래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4단계 두뇌한국21(Brain Korea 21, BK21) 사업의 예비 선정 결과가 지난 8월 6일 발표됐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전국 68개 대학, 총 562개 교육연구단(팀)을 선정하였는데, GIST가 이에 포함되지 않아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BK21 사업의 특성을 고려했을...
응급전화 2119(내선 번호 062-715-2119)의 실효성에 대해 의문이 제기됐다. 응급전화 2119란 화재, 화학약품 누출, 도난 등 캠퍼스 내에서 긴급 상황이 일어났을 때 학생들이 전화를 걸어 도움을 요청할 경우 대처를 돕는 캠퍼스 안전 시스템의 일종이다. 연구안전센터는 현재 실험실 내 안전사고의 빠른 대처를 위해 학교 내의 모든 실험실에 응급전화 연락망을 필수적으로 부착하도록...

만평